나선형 모델

기술노트

🌀 나선형 모델 (Spiral Model)

나선형 모델은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SDLC) 모델 중 하나로, 폭포수 모델의 순차적인 개발과 프로토타이핑 모델의 반복적인 개발을 결합한 형태입니다. 위험 관리(Risk Management)를 가장 중요하게 강조하며, 점진적으로 시스템을 개발해 나가는 모델입니다.

나선형 모델은 개발 과정을 여러 개의 나선(Spiral) 형태로 반복하며, 각 나선 주기가 끝날 때마다 위험을 분석하고 다음 단계를 계획합니다.


⚙️ 나선형 모델의 4가지 활동

각 나선 주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4가지 활동을 반복합니다.

1. 계획 및 목표 설정 (Planning & Objective Setting) : 이번 나선 주기에서 달성할 목표를 설정하고, 대안을 식별하며, 제약 조건을 파악합니다. 2. 위험 분석 및 평가 (Risk Analysis & Assessment) : 식별된 대안에 대한 위험을 분석하고,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프로토타입 개발, 시뮬레이션 등) 3.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 Validation) : 위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테스트합니다. (프로토타입 개발, 실제 시스템 개발 등) 4. 고객 평가 및 다음 단계 계획 (Customer Evaluation & Next Phase Planning) : 개발된 결과물을 고객에게 평가받고, 다음 나선 주기를 계획합니다.


⚖️ 나선형 모델의 장단점

  • 장점 :

> * 위험 관리: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체계적으로 식별하고 관리하여, 프로젝트의 실패 가능성을 줄입니다. > * 요구사항 변경에 유연: 반복적인 개발을 통해 요구사항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 점진적 개발: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점진적으로 시스템을 완성해 나갈 수 있습니다.

  • 단점 :

> * 높은 관리 복잡성: 반복적인 개발과 위험 관리 활동으로 인해 프로젝트 관리와 문서화가 복잡합니다. > * 많은 비용과 시간: 각 나선 주기마다 위험 분석 및 평가 활동이 필요하므로, 전체 개발 비용과 시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 숙련된 위험 관리 전문가 필요: 위험을 정확히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 정보처리기사 핵심 Point

  • 나선형 모델은 대규모 프로젝트나 위험 부담이 큰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
  • 특히 위험 관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모델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 정보처리기사 시험에서는 나선형 모델의 4가지 활동과 장단점을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