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질문리스트

기술노트

6week

1. 처리량과 대역폭의 차이를 설명해주세요

=> 대역폭은 지정기간동안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트래픽 양이며, 처리량의 경우 평균치를 고려하는 점이 다릅니다.

2. HTTP와 TCP의 차이에 대해 서술하세요.

=> 우선 작동 계층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TCP/IP의 경우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HTTP는 응용 계층에서 사용됩니다. 또한 HTTP의 경우 TCP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헤더의 유무 차이와 TCP는 byte Array 단위로 통신을 하며 HTTP는 String 단위로 동작합니다.

'''''''''''''''''''''''''''''*

7week

1. 로드밸런싱의 목적은 무엇이며,L4 스위치와 L7스위치가 로드밸런서로 가지는 차이점은 무엇인가

⇒ 로드밸런은 트래픽을 받아 여러 대의 서버에 분산하는 기법이며 자원사용의 최소화와 특정서버의 과부화방지 및 처리량 증가의 목적을 두고 사용합니다.

L4스위치와 L7 스위치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L4스위치는 TCP헤더에 있는 정보인 IP와 Port번호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4계층에 대한 정보로만 처리를한다. 대표적으로 AWS의 ElasticBeanstock에서 Network Load Balancer가 L4 스위치 역할을 하며,가상 IP를 리얼 IP로 변경해주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L7 로드밸런서는 Layer4를 넘어 Layer7 프로토콜 헤더를 분석할 수 있기 떄문에 IP와 Port이외에도 URL,Payload,Http Header,쿠키등의 내용을 활용해 트래픽의 부하를 분산하여 컨텐츠 기반 스위칭을 작업한다.

L4 로드밸런서는 단순 부하를 분산시키는데 집중한다면, L7로드밸런서는 패킷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지점 구축 및 사용자 요청 기준으로 트래픽 분산이 가능하다.

1-1.(꼬리) 로드밸런싱의 스케일업과 스케일 다운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1. 프로토콜은 무엇인가요?

⇒ 서로 다른기기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 시켜놓은 통신규약이다.

2-1. (꼬리) 프로토콜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데이터를 단편화 하여 전송함으로서 전송속도를 높이고 캡슐화를 통해 송,수신지 주소 및 오류검출코드등의 정보를 은닉화합니다. 또한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는 흐름제어 기능과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제어 및 송수신 상태를 맞추는 동기화 기능이 존재합니다.

1. TCP의 연결을 구축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 무엇인가요?

⇒ 3-way-handshaking 기법을 사용하여 연결을하며 해당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나 중간 점검 단계로 인해 속도는 느려지게 됩니다.

3-1. (꼬리) 해당 연결 방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시가 무엇이 있을까요?

⇒ 웹소켓에서 사용이 되는 방식이 대표적입니다. 기존 3-way-handshaking이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에 적용되는 것처럼 웹소켓 최초접속시 브라우저와 서버사이에 핸드셰이킹이 사용됩니다.

1. MAC Address란 무엇인가요?

'''''''⇒''''''' Media Access Control의 약자로, LAN에서 사용하는 독자적인 주소체계이며 절대 중복되지 않는 특성을 지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