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노트
🔗 블록체인 (Blockchain)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블록(Block)'이라는 단위로 기록하고, 이를 '체인(Chain)' 형태로 연결하여 여러 컴퓨터에 동시에 복제 및 저장하는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입니다. 중앙 관리 기관 없이도, 참여자들 간의 신뢰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과 투명성을 보장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블록체인의 핵심 기술
- 분산 원장 (Distributed Ledger) : 거래 기록(원장)을 중앙 서버 한 곳이 아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참여자)가 함께 공유하고 관리합니다.
- 블록과 체인 : 일정 시간 동안 발생한 거래 데이터를 모아 하나의 '블록'을 생성하고, 이 블록을 이전 블록의 해시(Hash) 값을 포함하여 '체인' 형태로 연결합니다. 이 구조 때문에 데이터 위변조가 매우 어렵습니다.
- 해시 (Hash) : 모든 블록은 자신의 데이터와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가지고 있어, 어느 한 블록의 내용만 살짝 바꿔도 그 뒤의 모든 블록의 해시 값이 연쇄적으로 바뀌므로 위변조가 즉시 발각됩니다.
- 합의 알고리즘 (Consensus Algorithm) : 중앙 기관 없이도,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새로운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원장에 추가하는 것에 대해 합의하는 규칙입니다. (예: 작업증명 PoW, 지분증명 PoS)
🤔 블록체인은 왜 사용하는가?
- 탈중앙성 (Decentralization) : 중앙 관리자가 없어, 시스템이 특정 주체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장애나 공격에 강합니다.
- 투명성 (Transparency) :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거래 기록을 공유하므로,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예외)
- 보안성 및 무결성 (Security & Integrity) : 데이터가 여러 노드에 분산 저장되고, 해시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어 한 번 기록된 데이터를 위변조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 기술사 핵심 Point
- 블록체인은 암호화폐(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기반 기술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는 블록체인 위에서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 프로그램으로, 블록체인의 활용 범위를 크게 확장시켰습니다. (주로 이더리움 플랫폼)
- 모든 서비스에 블록체인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중앙 기관 없이 참여자 간의 신뢰를 형성하고, 데이터의 투명성과 무결성을 보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특정 분야(금융, 투표, 공급망 관리 등)에 적합합니다.
-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특정 참여자만 허용되는 '프라이빗/컨소시엄 블록체인'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징과 용도가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