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네팅

기술노트

🌐 서브네팅 (Subnetting)

서브네팅은 하나의 큰 IP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서브네트워크(Subnet)로 분할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네트워크 관리의 효율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서브네팅은 왜 필요한가?

  • IP 주소의 효율적 사용 : IP 주소는 한정된 자원이므로,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서브네팅을 통해 필요한 만큼의 IP 주소만 할당하여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성능 향상 :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분할하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트래픽의 범위를 줄여 네트워크 혼잡을 감소시키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보안 강화 :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특정 서브넷 간의 통신을 제한함으로써, 보안 사고 발생 시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관리 용이 :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관리함으로써, 문제 발생 시 원인 파악 및 해결이 용이해집니다.

⚙️ 서브네팅의 원리

서브네팅은 IP 주소의 일부를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을 호스트 주소로 사용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때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사용하여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합니다.

  •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와 동일하게 32비트로 구성되며, 네트워크 주소 부분은 1로, 호스트 주소 부분은 0으로 채워집니다. (예: `255.255.255.0`)
  • 네트워크 주소 : 서브넷 마스크와 IP 주소를 비트 단위로 AND 연산하여 얻습니다. 해당 서브넷을 대표하는 주소입니다.
  • 브로드캐스트 주소 : 해당 서브넷의 모든 호스트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주소입니다. 호스트 주소 부분이 모두 1로 채워집니다.

💡 정보처리기사 핵심 Point

  • 정보처리기사 시험에서는 서브네팅의 개념, 서브넷 마스크의 역할, 그리고 특정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이용한 네트워크 주소 및 브로드캐스트 주소 계산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은 클래스 기반의 IP 주소 할당 방식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으로, 서브넷 마스크를 `/비트 수` 형태로 표기합니다. (예: `192.168.1.0/24`)
  • 서브네팅은 네트워크 관리의 기본이며, IP 주소의 효율적인 사용과 네트워크 성능 향상에 필수적인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