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턴스
기술노트
인스턴스 (Instance)
인스턴스(Instance)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 클래스를 바탕으로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제로 존재하는 구체적인 실체를 의미합니다. 즉, 클래스라는 설계도를 통해 만들어진 실제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부르며, 이 과정을 인스턴스화(Instantiation)라고 합니다.
🧱 인스턴스의 주요 특징
- 메모리 할당 : 인스턴스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메모리(주로 힙 영역)에 할당되어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능을 수행합니다.
- 고유한 상태 : 각 인스턴스는 클래스에 정의된 속성(변수)을 가지지만, 각 인스턴스마다 고유한 상태(값)를 가질 수 있습니다.
- 클래스의 구현체 : 인스턴스는 클래스에 정의된 모든 속성과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의 관계
- 클래스 (Class) :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 또는 틀. (예: 자동차 설계도)
- 객체 (Object) : 클래스에 의해 정의된 속성과 행동을 가진 실체. 모든 인스턴스를 대표하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예: 설계도에 따라 만들어진 실제 자동차)
- 인스턴스 (Instance) : 특정 클래스의 객체를 나타내는 용어.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객체를 '인스턴스'라고 부르며, 이 과정을 '인스턴스화(Instantiation)'라고 합니다. (예: '현대 아반떼'는 '자동차' 클래스의 인스턴스)
- 요약:** 클래스는 설계도, 객체는 설계도로 만들어진 실체(개념적), 인스턴스는 그 실체가 메모리에 할당되어 구체화된 상태(실제적)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왜 인스턴스를 사용하는가?
- 데이터의 독립성 : 여러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각각 독립적인 데이터를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 코드 재사용성 : 하나의 클래스를 통해 여러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동일한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 현실 세계 모델링 : 현실 세계의 다양한 개별 사물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개발자 핵심 Point
- 인스턴스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실제 데이터를 다루고 로직을 수행하는 주체입니다.
- 클래스와 객체, 인스턴스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객체 지향 설계를 올바르게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특히 Java와 같은 언어에서는 JVM의 메모리 구조(힙 영역에 인스턴스 저장)와 함께 인스턴스의 생성 및 관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