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거버넌스

기술노트

🛡️ 정보보호 거버넌스 (ISMS, PIMS)

정보보호 거버넌스는 기업의 정보보호 활동이 비즈니스 목표와 전략에 부합하도록, 정보보호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체계입니다. 정보보호를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기업 경영의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 정보보호 거버넌스는 왜 필요한가?

정보 유출, 해킹, 랜섬웨어 등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고,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규가 강화되면서 정보보호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정보보호 거버넌스는 이러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기업의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체계입니다.

  • 비즈니스 연계 : 정보보호 활동이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지원하도록 합니다.
  • 위험 관리 : 정보보호 관련 위험을 식별, 평가, 관리하여 기업의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 규제 준수 : 국내외 정보보호 관련 법규 및 규제를 체계적으로 준수합니다.
  • 책임성 확보 : 정보보호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과 책임을 명확히 하여, 투명성을 높입니다.

📚 주요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PIMS)

  • ISM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의미하며, 기업이 주요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수립, 관리, 운영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활동입니다.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은 ISMS 인증을 의무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 * `주요 항목` : 정보보호 정책 수립, 위험 관리, 접근 통제, 암호화, 물리적 보안 등

  • 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를 의미하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체계입니다. ISMS가 모든 정보자산을 다룬다면, PIMS는 개인정보에 특화된 관리체계입니다.

> * `주요 항목` : 개인정보 수집/이용, 제공, 파기, 개인정보 처리 위탁 등

  • ISO/IEC 27001 : 정보보호 경영 시스템(ISMS)에 대한 국제 표준입니다.

💡 기술사 핵심 Point

  • 정보보호 거버넌스는 단순히 기술적인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조직, 프로세스, 기술이 통합된 전사적인 접근 방식을 요구합니다.
  • ISMS와 PIMS는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인증 제도입니다.
  • 정보보호 거버넌스의 성공은 최고 경영진의 강력한 의지와 지원, 그리고 전 직원의 보안 의식 함양에 달려 있습니다.
  • 최근에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정보보호 거버넌스, OT(운영 기술) 보안 거버넌스 등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