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코드

기술노트

✅ 테스트 코드 (Test Code)

테스트 코드는 개발자가 작성한 실제 코드(프로덕션 코드)가 의도한 대로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작성하는 또 다른 코드입니다. 테스트 코드는 버그를 사전에 발견하고, 코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이며, 리팩토링을 자신감 있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 테스트 코드는 왜 필요한가?

  • 버그 조기 발견 : 개발 과정에서 버그를 미리 발견하여, 나중에 발생할 더 큰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코드 변경에 대한 자신감 :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리팩토링을 할 때, 기존 기능이 망가지지 않았다는 것을 테스트 코드를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살아있는 문서 (Living Documentation) : 잘 작성된 테스트 코드는 그 자체가 해당 코드의 기능과 사용법을 설명하는 명확한 문서 역할을 합니다.
  • 더 나은 설계 : 테스트하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각 기능의 역할이 명확해지고 결합도가 낮은 설계로 이어집니다.

📚 테스트의 종류

테스트는 검증하는 범위와 관점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뉩니다.

  • 단위 테스트 (Unit Test) : 가장 작은 단위인 함수나 메서드가 독립적으로 잘 동작하는지 검증합니다. 실행 속도가 빠르고, 가장 빈번하게 작성됩니다.
  • 통합 테스트 (Integration Test) : 여러 개의 모듈이나 컴포넌트를 결합하여, 서로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는지 검증합니다. (예: API 호출, 데이터베이스 연동 테스트)
  • E2E 테스트 (End-to-End Test) : 실제 사용자의 시나리오에 따라,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시스템의 흐름이 잘 동작하는지 검증합니다.

이러한 테스트들을 피라미드 형태로 구성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단위 테스트를 가장 많이,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E2E 테스트를 가장 적게 작성하는 테스트 피라미드 전략이 일반적입니다.


💡 정보처리기사 핵심 Point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단순히 버그를 찾는 행위를 넘어,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전문적인 개발 활동입니다.
  • TDD(테스트 주도 개발)는 테스트 코드가 개발을 이끌어 나가는 적극적인 개발 방법론입니다.
  • 좋은 테스트 코드는 'FIRST' 원칙을 따릅니다: **F**ast(빠르게), **I**solated(독립적으로), **R**epeatable(반복 가능하게), **S**elf-Validating(스스로 검증 가능하게), **T**imely(시기적절하게).
  • CI/CD 파이프라인에 테스트 자동화를 포함시켜, 코드가 통합될 때마다 자동으로 테스트를 실행하고 품질을 검증하는 것이 현대적인 개발 프로세스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