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기술노트
🧠 CPU 개요
⚙️ 컴퓨터의 핵심 CPU와 폰 노이만 구조
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는 CPU, 메모리, 디스크입니다. 여기에 I/O 장치를 포함하면 완전한 컴퓨터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 구조를 처음 제안한 사람은 존 폰 노이만(John von Neumann)입니다.
폰 노이만 구조의 핵심 특징:
- 📌 명령어 → 실행 → 결과 저장을 순차적으로 수행
 - 📌 명령어와 데이터가 같은 버스로 이동
 - 📌 연산은 중앙 처리 장치(CPU)가 수행
 
⏱️ CPU의 속도: Hz와 Clock
CPU의 성능은 클럭 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Hz(헤르츠): 1초에 얼마나 많은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단위
- 예: 3GHz = 1초에 30억 번 연산 가능
 
 
- Clock(클럭):
- 전기적 펄스 신호
 - 클럭 1번 = CPU 명령어 1개 수행
 - 클럭이 빠를수록 처리 속도 ↑
 
 
🧩 CPU 구성 요소
- 🔢 ALU (산술/논리 연산 장치)
 - 🧭 제어 장치 (Control Unit)
 - 🗃️ 레지스터 (Register)
 
🔢 ALU(산술 논리 연산 장치)
- 산술 연산: +, −, ×, ÷
 - 논리 연산: AND, OR, XOR 등
 - 부동소수점(FPU), 정수 연산 처리
 - 연산에 필요한 값은 레지스터에서 읽어옴
 
🧭 제어 장치(Control Unit)
- 명령어 해석 및 제어 신호 생성
 - 구성 요소:
 
* PC(Program Counter): 다음 명령 주소 * IR(Instruction Register): 현재 명령 * Instruction Decoder: 명령 해석
- 제어 방식:
 
* 하드와이어드: 빠르나 유연성 ↓ (RISC에 적합) * 마이크로프로그램 방식: 유연성 ↑ (CISC에 적합)
🗃️ 레지스터(Register)
CPU 내부의 초고속 임시 저장장치입니다.
- IR: 현재 명령어 저장
 - PC: 다음 명령어 주소
 - AC: 연산 결과 저장
 
🛠️ 명령어 수행 과정
CPU는 다음 순서로 명령을 처리합니다:
- 📥 Fetch – 명령어 읽기
 - 🔍 Decode – 명령 해석
 - 🛠️ Execute – 실행
 - 💾 Write Back – 결과 저장
 
- 명령어 구성 = Op-code + Operand
 
* Op-code: 실행할 작업 * Operand: 대상 데이터 또는 주소
🧱 명령어 구조: RISC와 CISC 비교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단순 명령어 조합
 - 파이프라이닝 최적화
 - 하나의 명령 = 한 클럭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복잡한 명령어 지원
 - 한 명령에 여러 클럭 필요
 - 명령어 수 많음
 
| 항목 | RISC | CISC | 
|---|---|---|
| 명령어 수 | 적음 | 많음 | 
| 실행 속도 | 빠름 | 느림 | 
| 설계 복잡도 | 단순 | 복잡 | 
| 대표 예시 | ARM, MIPS | Intel x86 | 
🚀 EPIC: RISC의 한계를 넘다
EPIC(Explicitly Parallel Instruction Computing)는 Intel과 HP가 공동 개발한 64비트 아키텍처입니다.
- 병렬 처리 명령어를 컴파일러가 명시
 - 128개 이상의 레지스터 사용
 - 컴파일 단계에서 병렬 실행 가능한 명령 그룹화
 - RISC보다 높은 성능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