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IP 프로토콜 스택

기술노트

🌐 TCP_IP 프로토콜 스택

TCP/IP 프로토콜 스택은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핵심적인 통신 프로토콜의 모음입니다. OSI 7계층 모델을 기반으로 하지만,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을 중심으로 4개 또는 5개의 계층으로 단순화하여 표현합니다.


📚 TCP/IP 4계층 모델

1.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OSI 모델의 응용, 표현, 세션 계층에 해당합니다. 사용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이 위치합니다. (예: HTTP, FTP, SMTP, DNS) 2.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OSI 모델의 전송 계층에 해당합니다. 프로세스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예: TCP, UDP) 3.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고,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라우팅합니다. (예: IP, ICMP, ARP) 4. 네트워크 접근 계층 (Network Access Layer) :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에 해당합니다. 실제 네트워크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 이더넷, Wi-Fi)


🆚 OSI 7계층과의 비교

OSI 7계층 TCP/IP 4계층
7. 응용 계층 4. 응용 계층
6. 표현 계층 (통합)
5. 세션 계층 (통합)
4. 전송 계층 3. 전송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2. 인터넷 계층
2. 데이터 링크 계층 1. 네트워크 접근 계층
1. 물리 계층

(통합)


💡 정보처리기사 핵심 Point

  • 정보처리기사 시험에서는 TCP/IP 4계층 모델의 각 계층의 이름, 역할, 그리고 해당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요 프로토콜을 정확히 연결하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모델을 비교하여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TCP/IP는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이므로, 각 프로토콜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네트워크 관련 문제 해결에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