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DD

기술노트

✅ TDD (Test-Driven Development)

TDD (테스트 주도 개발)는 실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고, 그 테스트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론입니다. 이는 단순히 테스트를 자동화하는 것을 넘어, 코드의 설계와 구현을 이끌어가는 개발 방식입니다.


🔄 TDD의 개발 주기 (Red-Green-Refactor)

TDD는 아래의 짧은 주기를 반복하며 진행됩니다.

1. RED (실패) : 구현하려는 기능에 대한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합니다. 아직 실제 코드가 없으므로, 이 테스트는 당연히 실패해야 합니다. (컴파일 에러도 실패에 해당) 2. GREEN (성공) : 작성한 테스트 코드를 통과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실제 코드를 작성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코드의 품질이나 구조보다는, 오직 테스트를 통과시키는 것에만 집중합니다. 3. REFACTOR (리팩토링) : 테스트가 통과된 상태에서, 코드의 중복을 제거하고 구조를 개선하는 리팩토링을 진행합니다. 리팩토링 후에도 테스트는 계속 성공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 세 단계를 계속 반복하면서 점진적으로 전체 기능을 완성해 나갑니다.


⚖️ TDD의 장단점

  • 장점 :

> * 안정성 및 신뢰성 향상: 모든 코드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가 존재하므로, 코드 변경 시 잠재적인 버그를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견고한 회귀 테스트 스위트 확보) > * 더 나은 설계: 테스트하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각 기능이 모듈화되고 의존성이 낮은 설계로 이어집니다. > * 명확한 기능 정의: 테스트 코드는 그 자체가 구현하려는 기능의 명세서(요구사항) 역할을 합니다.

  • 단점 :

> * 높은 학습 곡선: 기존의 개발 방식과 달라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 * 개발 시간 증가: 실제 코드 외에 테스트 코드까지 작성해야 하므로, 초기 개발 속도가 더딜 수 있습니다.


💡 개발자 핵심 Point

  • TDD의 핵심은 테스트가 개발을 이끌어 나간다는 것입니다. 실패할 테스트를 먼저 작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부분입니다.
  • TDD는 테스트 방법론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설계 및 개발 방법론입니다.
  • TDD를 통해 얻는 코드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성의 이점은, 초기 개발 시간의 투자를 상쇄하고도 남는 경우가 많습니다.
  • 처음부터 모든 코드에 TDD를 적용하기보다는, 단위가 명확하고 중요한 비즈니스 로직부터 점진적으로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