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술노트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차이 없음)

2025년 9월 6일 (토) 05:05 기준 최신판

⚡ 반응형 프로그래밍 (Reactive Programming)

반응형 프로그래밍데이터의 흐름(Stream)과 변화의 전파에 중점을 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나 데이터의 흐름을 '스트림(Stream)'으로 보고, 이 스트림의 변화에 '반응(React)'하여 관련 로직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엑셀 시트에서 한 셀의 값을 바꾸면, 그 셀을 참조하는 다른 셀들의 값이 자동으로 바뀌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 반응형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

  • 옵저버블 (Observable) : 데이터의 흐름, 즉 스트림을 나타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0개 이상의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마지막에는 성공 또는 실패 신호를 보냅니다.
  • 오퍼레이터 (Operator) : 스트림을 조작하고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map`, `filter`, `reduce` 등 다양한 오퍼레이터를 체인 형태로 연결하여, 복잡한 비동기 로직을 선언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 스케줄러 (Scheduler) : 스레드를 관리하여, 특정 작업을 어떤 스레드에서 실행할지 제어합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동시성 프로그래밍을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구독 (Subscribe) : 옵저버블이 데이터를 발행하기 시작하도록 트리거하고, 발행된 데이터를 소비하는 행위입니다.

🤔 왜 반응형 프로그래밍을 사용하는가?

전통적인 콜백(Callback) 기반의 비동기 프로그래밍은, 여러 비동기 작업이 중첩될 경우 '콜백 헬(Callback Hell)'이라고 불리는 복잡하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코드를 만들기 쉽습니다.

반응형 프로그래밍은 모든 비동기 이벤트를 일관된 스트림으로 다루고, 다양한 오퍼레이터를 통해 데이터의 흐름을 명확하게 표현함으로써, 복잡한 비동기 및 이벤트 기반 코드를 선언적이고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 개발자 핵심 Point

  • 반응형 프로그래밍은 비동기 및 이벤트 중심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매우 강력한 패러다임입니다.
  • 대표적인 반응형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로는 RxJava(Java), RxSwift(Swift), RxJS(JavaScript), Project Reactor(Spring) 등이 있습니다.
  •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이벤트 처리,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여러 API를 조합하는 비동기 작업 등에서 널리 활용됩니다.
  • 처음에는 학습 곡선이 다소 높지만, 익숙해지면 복잡한 비동기 로직을 매우 우아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