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min의 사용자 기여

기술노트
기여 검색펼치기접기
⧼contribs-top⧽
⧼contribs-date⧽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7월 5일 (토)

2025년 7월 4일 (금)

2025년 6월 28일 (토)

2025년 6월 25일 (수)

  • 13:462025년 6월 25일 (수) 13:46 차이 역사 +1,231 Ajax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3:032025년 6월 25일 (수) 13:03 차이 역사 +2,372 새글 Ajax새 문서: = AJAX의 정의 및 필요성 = == AJAX란? ==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 *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웹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아 웹 페이지의 일부만 동적으로 갱신하는 기술 * 핵심 포인트: ** 자바스크립트와 브라우저 내장 객체(XMLHttpRequest, fetch) 활용 ** 비동기(Async) 방식으로 동작 ** 최근에는 XML 대신 JSON을 주로 사용 == 왜 필요한가? ==...

2025년 6월 24일 (화)

2025년 6월 19일 (목)

  • 21:202025년 6월 19일 (목) 21:20 차이 역사 +1,993 새글 새 문서: 인터넷은 인터넷 프로토콜 제품군(TCP/IP)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상호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로벌 네트워크입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정보 및 서비스를 교환하고 수십억 개의 장치와 사용자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은 통신, 상업, 교육, 엔터테인먼트에 혁명을 일으켰으며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습니다. 웹 브라우징과 인스턴트... 최신
  • 21:172025년 6월 19일 (목) 21:17 차이 역사 +1,186 인터넷편집 요약 없음 최신 태그: 시각 편집

2025년 6월 12일 (목)

  • 14:552025년 6월 12일 (목) 14:55 차이 역사 +2,730 새글 장애 복구새 문서: == 🔄 RTO와 RPO란? == '''RTO(Recovery Time Objective)'''는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복구가 완료되어야 하는 최대 시간**을 의미합니다. '''RPO(Recovery Point Objective)'''는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한 데이터 손실 허용 범위**를 뜻합니다. 예시로, RTO가 2시간이라면 장애 후 2시간 이내 시스템이 복구되어야 하고, RPO가 30분이라면 최대 30분 전까지의 데이터가 보존되어야 합니다. ----... 최신
  • 14:552025년 6월 12일 (목) 14:55 차이 역사 +2,730 새글 RPO새 문서: == 🔄 RTO와 RPO란? == '''RTO(Recovery Time Objective)'''는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복구가 완료되어야 하는 최대 시간**을 의미합니다. '''RPO(Recovery Point Objective)'''는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한 데이터 손실 허용 범위**를 뜻합니다. 예시로, RTO가 2시간이라면 장애 후 2시간 이내 시스템이 복구되어야 하고, RPO가 30분이라면 최대 30분 전까지의 데이터가 보존되어야 합니다. ----... 최신
  • 14:552025년 6월 12일 (목) 14:55 차이 역사 +2,730 새글 RTO새 문서: == 🔄 RTO와 RPO란? == '''RTO(Recovery Time Objective)'''는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복구가 완료되어야 하는 최대 시간**을 의미합니다. '''RPO(Recovery Point Objective)'''는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한 데이터 손실 허용 범위**를 뜻합니다. 예시로, RTO가 2시간이라면 장애 후 2시간 이내 시스템이 복구되어야 하고, RPO가 30분이라면 최대 30분 전까지의 데이터가 보존되어야 합니다. ----... 최신

2025년 6월 11일 (수)

2025년 6월 9일 (월)

2025년 5월 19일 (월)

  • 13:412025년 5월 19일 (월) 13:41 차이 역사 +3,517 스택편집 요약 없음
  • 13:202025년 5월 19일 (월) 13:20 차이 역사 +2,990 새글 스택새 문서: == 예상 질문 == 자료 저장 형태 중 '''스택(Stack)'''과 '''큐(Queue)'''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스택과 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시오. 스택과 큐를 적용할만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이 질문을 하는 이유 == 스택과 큐는 자료 구조의 '''기본적인 개념'''이다. 각각 적합한 활용처가 있으며, 그 활용처가 무엇인지 숙지해야 한다. 또한 코딩의 기본이 되는 요소이...

2025년 5월 15일 (목)

  • 16:232025년 5월 15일 (목) 16:23 차이 역사 +3,280 새글 알고리즘새 문서: == 📘 알고리즘 개요 == === 🤔 알고리즘이란? === *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적 방법''' 또는 '''명확한 규칙들의 집합'''입니다. * 쉽게 말해, **"입력 → 처리 → 출력"** 과정을 수행하는 정확한 단계입니다. 예시: : 요리를 만들기 위한 **레시피**, 주어진 숫자들을 정렬하는 **방법**, 목적지까지 최단경로를 찾는 **길찾기 방식** 등 -... 최신
  • 16:182025년 5월 15일 (목) 16:18 차이 역사 −579 운영체제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6:102025년 5월 15일 (목) 16:10 차이 역사 −1,961 CPU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6:082025년 5월 15일 (목) 16:08 차이 역사 +279 컴퓨터 구조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6:002025년 5월 15일 (목) 16:00 차이 역사 +2,921 새글 컴퓨터 구조새 문서: == 컴퓨터 구조의 핵심 구성 요소 == 컴퓨터 구조의 핵심 구성 요소는 '''CPU''', '''메모리''', '''디스크''', 그리고 '''입출력(I/O)'''입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입니다. === 각 구성 요소의 역할 === ; '''CPU (중앙처리장치)''' : 계산을 담당하는 장치입니다. : 내부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 레지스...
  • 15:012025년 5월 15일 (목) 15:01 차이 역사 +862 동적할당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4:562025년 5월 15일 (목) 14:56 차이 역사 +4,786 새글 운영체제새 문서: ==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이점 == 제공해주신 자료에 따르면, 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에는 CPU, 메모리, 디스크, 그리고 입출력(I/O)이 포함됩니다. 이 중 메모리와 디스크는 둘 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차이점은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맥락에서 중요하게 논의됩니다. 자료에서 설명하는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이...
  • 14:512025년 5월 15일 (목) 14:51 차이 역사 +4,775 새글 컴퓨터구조새 문서: ==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이점 == 제공해주신 자료에 따르면, 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에는 CPU, 메모리, 디스크, 그리고 입출력(I/O)이 포함됩니다. 이 중 '''메모리와 디스크는 둘 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차이점은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맥락에서 중요하게 논의됩니다. 자료에서 설명하는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 최신

2025년 5월 7일 (수)

2025년 5월 6일 (화)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 (20 | 50 | 100 | 250 | 50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