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술노트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
(차이 없음)
|
2025년 9월 6일 (토) 05:08 기준 최신판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기업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프라이빗 클라우드(Private Cloud) 또는 온프레미스(On-premise) 인프라와, 외부의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를 함께 조합하여 사용하는 컴퓨팅 환경입니다. 두 환경은 표준화된 기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이 두 환경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왜 사용하는가?
모든 워크로드를 퍼블릭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것이 항상 최선은 아닙니다. 기업은 보안, 규제, 비용, 성능 등의 이유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을 선택합니다.
- 보안 및 규제 준수 : 매우 민감한 데이터나 핵심적인 애플리케이션은 보안 통제가 용이한 내부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두고, 일반적인 워크로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 비용 최적화 : 평상시의 워크로드는 자체 인프라에서 처리하고,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나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만 퍼블릭 클라우드의 자원을 빌려 쓰는 '클라우드 버스팅(Cloud Bursting)'을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기존 자산 활용 : 기존에 투자한 데이터 센터나 하드웨어 자산을 유지하면서, 필요에 따라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낮은 지연 시간 :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의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지연 시간에 민감한 서비스의 응답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구축의 핵심
성공적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프라이빗 환경과 퍼블릭 환경 간의 원활한 상호운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일관된 운영 환경 : 두 환경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리 플랫폼이 필요합니다.
- 데이터 이동성 : 데이터가 두 환경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고 동기화될 수 있어야 합니다.
- 네트워크 연결 : VPN이나 전용 회선 등을 통해 두 환경 간의 안전하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보장해야 합니다.
💡 기술사 핵심 Point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의 유연성과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통제력이라는 두 가지 장점을 모두 취하기 위한 현실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 쿠버네티스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인프라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여, 하이브리드 및 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는 핵심 기술로 사용됩니다.
- 최근에는 AWS의 Outposts, Google의 Anthos, MS의 Azure Arc와 같이, 퍼블릭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자사의 서비스를 기업의 데이터 센터까지 확장하여, 일관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경험을 제공하는 솔루션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