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술노트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API 설정 ==
==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소통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API 정의 ===
'''API'''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규칙과 약속'''의 집합입니다. 복잡한 내부 구현을 알 필요 없이, API가 제공하는 기능과 형식에 맞춰 요청을 보내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API는 소프트웨어 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HTTP 요청을 통해 정보를 요청하고 응답을 받습니다.


=== 사용법 ===
쉽게 말해, 식당의 메뉴판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손님(클라이언트)은 메뉴판(API)을 보고 원하는 음식을 주문(요청)하면, 주방(서버)에서는 그에 맞춰 요리를 만들어 제공(응답)합니다. 손님은 주방의 복잡한 레시피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1. 미디어위키에서 API 접근 설정을 확인하세요.
2. 필요한 권한을 설정하고, API를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세요.
3. HTTP 요청을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유투브 영상 ===
----
[https://www.youtube.com/watch?v=0qKIbnuuuCI API 에 대한 설명 영상]


'''<nowiki><youtube>0qKIbnuuuCI</youtube></nowiki>'''
=== 💡 API의 역할과 장점 ===
 
* '''기능의 재사용성''' : 이미 만들어진 기능을 API를 통해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다른 개발자들이 같은 기능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의 모듈화''' : 서비스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모듈로 나누고, 각 모듈을 API로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협업의 용이성'''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자가 API라는 약속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 '''데이터 연동''' :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를 API를 통해 가져와 내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예: 지도 API, 결제 API)
 
----
 
=== 📚 REST API ===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API 설계 스타일 중 하나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자원(Resource)''' : 모든 데이터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표현됩니다. (예: `/users/123`)
* '''행위(Verb)''' :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로 표현합니다.
* '''표현(Representation)''' : 자원은 JSON이나 XML 같은 형태로 표현되어 전달됩니다.
 
----
 
=== 💡 개발자 핵심 Point ===
 
* API는 현대 개발 환경에서 '''협업과 재사용의 핵심'''입니다.
* 잘 설계된 API는 서비스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 백엔드 개발자는 기능 구현 후 API를 통해 프론트엔드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이 API를 호출하여 화면을 구성합니다.
* 다른 회사의 유용한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 가장 먼저 해당 회사가 API를 제공하는지 찾아보게 됩니다.

2025년 9월 6일 (토) 02:43 기준 최신판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규칙과 약속의 집합입니다. 복잡한 내부 구현을 알 필요 없이, API가 제공하는 기능과 형식에 맞춰 요청을 보내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식당의 메뉴판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손님(클라이언트)은 메뉴판(API)을 보고 원하는 음식을 주문(요청)하면, 주방(서버)에서는 그에 맞춰 요리를 만들어 제공(응답)합니다. 손님은 주방의 복잡한 레시피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 API의 역할과 장점

  • 기능의 재사용성 : 이미 만들어진 기능을 API를 통해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다른 개발자들이 같은 기능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의 모듈화 : 서비스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모듈로 나누고, 각 모듈을 API로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협업의 용이성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자가 API라는 약속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 데이터 연동 :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를 API를 통해 가져와 내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예: 지도 API, 결제 API)

📚 REST API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API 설계 스타일 중 하나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자원(Resource) : 모든 데이터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표현됩니다. (예: `/users/123`)
  • 행위(Verb) :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로 표현합니다.
  • 표현(Representation) : 자원은 JSON이나 XML 같은 형태로 표현되어 전달됩니다.

💡 개발자 핵심 Point

  • API는 현대 개발 환경에서 협업과 재사용의 핵심입니다.
  • 잘 설계된 API는 서비스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 백엔드 개발자는 기능 구현 후 API를 통해 프론트엔드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이 API를 호출하여 화면을 구성합니다.
  • 다른 회사의 유용한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 가장 먼저 해당 회사가 API를 제공하는지 찾아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