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술노트
편집 요약 없음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API란 무엇인가요?
==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란?
'''API'''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규칙과 약속'''의 집합입니다. 복잡한 내부 구현을 알 필요 없이, API가 제공하는 기능과 형식에 맞춰 요청을 보내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쉽게 말해, 식당의 메뉴판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손님(클라이언트)은 메뉴판(API)을 보고 원하는 음식을 주문(요청)하면, 주방(서버)에서는 그에 맞춰 요리를 만들어 제공(응답)합니다. 손님은 주방의 복잡한 레시피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즉, 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규칙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


📌 API를 쉽게 이해하기
=== 💡 API의 역할과 장점 ===


API는 **식당에서 주문하는 과정**과 비슷합니다.
* '''기능의 재사용성''' : 이미 만들어진 기능을 API를 통해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다른 개발자들이 같은 기능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의 모듈화''' : 서비스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모듈로 나누고, 각 모듈을 API로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협업의 용이성'''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자가 API라는 약속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 '''데이터 연동''' :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를 API를 통해 가져와 내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예: 지도 API, 결제 API)


- **메뉴판** → API 문서 (어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지 명시)
----


- **손님(클라이언트)** → API를 호출하는 프로그램
=== 📚 REST API ===


- **웨이터(API 자체)** → 요청을 주방(서버)으로 전달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API 설계 스타일 중 하나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주방(서버)** → 요청을 처리하고 결과를 반환
* '''자원(Resource)''' : 모든 데이터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표현됩니다. (예: `/users/123`)
* '''행위(Verb)''' :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로 표현합니다.
* '''표현(Representation)''' : 자원은 JSON이나 XML 같은 형태로 표현되어 전달됩니다.


손님(사용자)은 **주방 내부를 몰라도** 메뉴판을 보고 음식을 주문할 수 있습니다.  
----


즉, API를 사용하면 **복잡한 내부 구조를 몰라도 필요한 기능을 가져다 쓸 수 있습니다.**
=== 💡 개발자 핵심 Point ===


---
* API는 현대 개발 환경에서 '''협업과 재사용의 핵심'''입니다.
 
* 잘 설계된 API는 서비스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API의 주요 특징
* 백엔드 개발자는 기능 구현 후 API를 통해 프론트엔드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이 API를 호출하여 화면을 구성합니다.
 
* 다른 회사의 유용한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 가장 먼저 해당 회사가 API를 제공하는지 찾아보게 됩니다.
1️⃣ **재사용 가능**
 
- 한 번 만든 기능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 로그인 API를 만들면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
 
2️⃣ **표준화된 방식**
 
- API는 주로 **함수, 프로토콜, URL 요청 형식** 등의 형태로 제공됩니다.
 
- 개발자가 정해진 방식대로 사용하면 원하는 기능을 호출할 수 있음.
 
3️⃣ **보안성 유지**
 
- 내부 시스템의 **세부 구현을 숨기고** API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 예: 은행 앱이 계좌 정보를 가져올 때,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조회하는 대신 API를 사용.
 
---
 
API의 대표적인 종류
 
**1. 웹 API**
 
웹 기반에서 동작하는 API로, **클라이언트(웹, 앱)와 서버 간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 예: REST API, GraphQL API
 
```
 
클라이언트 → [요청] → 서버(API) → [응답] → 클라이언트
 
```
 
✔ **예제:** **REST API를 사용한 날씨 정보 조회**
 
```
 
GET <nowiki>https://api.weather.com/data?city=Seoul</nowiki>
 
```
 
- 요청: 서울의 날씨
 
  데이터를 가져옴
 
- 응답(JSON 예시):
 
```json
 
{
 
  "city": "Seoul",
 
  "temperature": "15°C",
 
  "condition": "Sunny"
 
}
 
```
 
✅ **2. 운영체제(API)**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API로, 프로그래머가 하드웨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예: Windows API, Linux System Call
 
✅ **3. 라이브러리 API**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반복적인 작업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API**  
 
🔹 예: JavaScript의 `fetch()` 함수 (웹 요청), Python의 `math` 라이브러리
 
API를 활용하는 실제 사례
 
✅ **구글 지도 API** → 앱에서 지도 및 위치 정보 표시  
 
✅ **페이스북 로그인 API** → 웹사이트에서 페이스북 계정으로 로그인  
 
✅ **카카오톡 메시지 API** → 앱에서 카카오톡 메시지 전송
 
결론
 
API는 **소프트웨어 간 연결을 위한 필수 도구**로, 개발자는 이를 이용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의 웹, 모바일 앱, 클라우드 서비스 등이 원활히 동작하는 **핵심 기술**이 바로 API입니다!

2025년 9월 6일 (토) 02:43 기준 최신판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이 서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규칙과 약속의 집합입니다. 복잡한 내부 구현을 알 필요 없이, API가 제공하는 기능과 형식에 맞춰 요청을 보내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식당의 메뉴판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손님(클라이언트)은 메뉴판(API)을 보고 원하는 음식을 주문(요청)하면, 주방(서버)에서는 그에 맞춰 요리를 만들어 제공(응답)합니다. 손님은 주방의 복잡한 레시피를 알 필요가 없습니다.


💡 API의 역할과 장점

  • 기능의 재사용성 : 이미 만들어진 기능을 API를 통해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다른 개발자들이 같은 기능을 다시 만들 필요 없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의 모듈화 : 서비스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모듈로 나누고, 각 모듈을 API로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협업의 용이성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개발자가 API라는 약속을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 데이터 연동 : 다른 서비스의 데이터를 API를 통해 가져와 내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습니다. (예: 지도 API, 결제 API)

📚 REST API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API 설계 스타일 중 하나로,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자원(Resource) : 모든 데이터는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표현됩니다. (예: `/users/123`)
  • 행위(Verb) :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로 표현합니다.
  • 표현(Representation) : 자원은 JSON이나 XML 같은 형태로 표현되어 전달됩니다.

💡 개발자 핵심 Point

  • API는 현대 개발 환경에서 협업과 재사용의 핵심입니다.
  • 잘 설계된 API는 서비스의 확장성과 유연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 백엔드 개발자는 기능 구현 후 API를 통해 프론트엔드에 데이터를 제공하고,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이 API를 호출하여 화면을 구성합니다.
  • 다른 회사의 유용한 기능을 사용하고 싶을 때, 가장 먼저 해당 회사가 API를 제공하는지 찾아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