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술노트
편집 요약 없음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은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을 필요에 따라 즉시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사용자는 직접 하드웨어를 구매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원하는 자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량 기반의 종량제(pay-as-you-go) 모델을 따릅니다. 이러한 방식은 기업이 초기 인프라 투자 비용을 줄이고,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1])


=== 초기 개념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등 '''IT 리소스를 빌려 쓰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물리적인 서버나 데이터 센터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사용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은 1960년대 메인프레임 컴퓨터의 타임셰어링(time-sharing) 시스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1990년대에는 네트워크를 통한 분산 컴퓨팅 개념이 발전하였고, 2000년대 중반부터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등의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가 열렸습니다. ([Wikipedia][2])


== 주요 개념 ==
----


* '''가상화(Virtualization)''': 물리적인 하드웨어 자원을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여러 개의 가상 머신으로 활용하는 기술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반 기술입니다.
=== 💡 핵심 특징 ===
* '''멀티테넌시(Multi-tenancy)''': 하나의 물리적 인프라를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되, 각 사용자의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은 분리하여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구조입니다.
* '''자동화(Automation)''': 자원의 프로비저닝, 스케일링, 모니터링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입니다.


== 서비스 모델 ==
* '''주문형 셀프 서비스 (On-demand self-service)''' : 사용자가 원할 때 관리자 없이 직접 리소스를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형 인프라스트럭처 (IaaS) ===
*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근 (Broad network access)''' : 인터넷만 되면 어디서든 다양한 기기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가상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 자원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있는 모델입니다. : AWS EC2, Microsoft Azure Virtual Machines
* '''리소스 공동 이용 (Resource pooling)''' :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함께 사용합니다.
* '''신속한 탄력성 (Rapid elasticity)''' : 필요에 따라 리소스 양을 빠르게 늘리거나 줄일 있습니다.
* '''측정된 서비스 (Measured service)''' :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합리적인 과금 체계를 가집니다.


=== 서비스형 플랫폼 (PaaS) ===
----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에 필요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모델로, 개발자는 인프라 관리 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예: Google App Engine, Heroku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SaaS) ===
=== 📚 서비스 모델: IaaS, PaaS, SaaS ===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모델로, 사용자는 설치 없이 브라우저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Gmail, Microsoft Office 365


=== 서버리스 컴퓨팅 ===
{| class="wikitable"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모델로, 이벤트 기반으로 자동 확장되며 비용 효율성이 높습니다. 예: AWS Lambda, Azure Functions
! 구분 !! IaaS (Infrastructure) !! PaaS (Platform) !! SaaS (Software)
|-
! 설명 || IT 인프라(서버, 스토리지)를 빌려 씀 || 개발에 필요한 플랫폼(OS, 미들웨어)을 빌려 씀 || 이미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빌려 씀
|-
! 예시 || AWS EC2, Google Compute Engine || Heroku, Google App Engine || Google Workspace, Slack
|-
! 관리 범위 || OS, 애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 || 없음 (서비스 이용만)
|}


== 배치 모델 ==
----
=== 공개형 클라우드 (Public Cloud) ===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클라우드 환경으로,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합니다. 예: AWS, Google Cloud


=== 폐쇄형 클라우드 (Private Cloud) ===
=== 💡 개발자 핵심 Point ===
단일 조직이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환경으로, 보안과 제어가 중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혼합형 클라우드 (Hybrid Cloud) ===
* 더 이상 비싼 물리 서버를 직접 사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공개형과 폐쇄형 클라우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모델로, 유연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 트래픽이 급증할 자동으로 서버를 늘리는 '''오토 스케일링(Auto-Scaling)'''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에 필수적입니다.
 
* 초기 인프라 구축 비용 없이 저렴하게 서비스를 시작하고, 서비스가 성장함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 멀티 클라우드 (Multi-Cloud) ===
* 대부분의 현대적인 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구축되고 배포됩니다.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전략으로, 특정 공급자에 대한 종속을 줄이고 가용성을 높입니다.
 
== 특징 ==
 
* '''주문형 셀프 서비스''': 사용자가 필요할 즉시 자원을 요청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근''':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자원 풀링''': 다수의 사용자가 자원을 공유하되, 각 사용자의 데이터는 분리되어 관리됩니다.
* '''탄력성''': 수요에 따라 자원을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 '''측정 서비스''':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라 비용을 청구합니다. ([Wikipedia][3])
 
== 장점 ==
 
* 초기 인프라 투자 비용 절감
* 빠른 서비스 배포 및 확장성
* 유지보수 및 운영 효율성 향상
* 글로벌 접근성 및 협업 용이성
 
== 제한 및 단점 ==
 
*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 우려
* 서비스 중단 시 업무 영향
* 공급자 종속성 및 벤더 락인(Vendor Lock-in)
*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이슈
 
== 최근 경향 ==
 
* '''클라우드 네이티브 컴퓨팅''': 컨테이너, 마이크로서비스, 서버리스 등을 활용하여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4])
* '''엣지 컴퓨팅''': 데이터 처리를 사용자 근처의 엣지 디바이스에서 수행하여 지연 시간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입니다.
* '''AI 및 머신러닝 통합''':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AI 및 머신러닝 서비스를 제공하여 데이터 분석과 예측 모델링을 지원합니다.
 
==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자 ==
 
* Amazon Web Services (AWS)
* Microsoft Azure
* Google Cloud Platform (GCP)
* IBM Cloud
* Oracle Cloud

2025년 9월 6일 (토) 02:43 기준 최신판

☁️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등 IT 리소스를 빌려 쓰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물리적인 서버나 데이터 센터를 직접 구축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사용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 핵심 특징

  • 주문형 셀프 서비스 (On-demand self-service) : 사용자가 원할 때 관리자 없이 직접 리소스를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광범위한 네트워크 접근 (Broad network access) : 인터넷만 되면 어디서든 다양한 기기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리소스 공동 이용 (Resource pooling) :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물리적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함께 사용합니다.
  • 신속한 탄력성 (Rapid elasticity) : 필요에 따라 리소스 양을 빠르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 측정된 서비스 (Measured service) :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합리적인 과금 체계를 가집니다.

📚 서비스 모델: IaaS, PaaS, SaaS

구분 IaaS (Infrastructure) PaaS (Platform) SaaS (Software)
설명 IT 인프라(서버, 스토리지)를 빌려 씀 개발에 필요한 플랫폼(OS, 미들웨어)을 빌려 씀 이미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빌려 씀
예시 AWS EC2, Google Compute Engine Heroku, Google App Engine Google Workspace, Slack
관리 범위 OS,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없음 (서비스 이용만)

💡 개발자 핵심 Point

  • 더 이상 비싼 물리 서버를 직접 사거나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 트래픽이 급증할 때 자동으로 서버를 늘리는 오토 스케일링(Auto-Scaling)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에 필수적입니다.
  • 초기 인프라 구축 비용 없이 저렴하게 서비스를 시작하고, 서비스가 성장함에 따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현대적인 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구축되고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