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 CD: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술노트
(새 문서: == 🔄 CI/CD == '''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버전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와 'CD(Continuous Delivery/Deployment)'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 === 🔄 CI (지속적 통합) === '''CI (지속적 통합)'''는 여러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주기적으로 중앙 저장소(예:...) |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CI_CD (Continuous Integration & Continuous Deployment) == | ||
'''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버전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와 'CD(Continuous Delivery/Deployment)'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 '''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버전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와 'CD(Continuous Delivery/Deployment)'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
2025년 9월 6일 (토) 05:05 기준 최신판
🔄 CI_CD (Continuous Integration & Continuous Deployment)
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버전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와 'CD(Continuous Delivery/Deployment)'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 CI (지속적 통합)
CI (지속적 통합)는 여러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주기적으로 중앙 저장소(예: Git)에 통합하고, 통합될 때마다 빌드와 테스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목표 : 코드 통합 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이나 버그를 조기에 발견하여 해결합니다.
- 핵심 활동 : 코드 통합 → 자동 빌드 → 자동 단위 테스트
🚀 지속적 제공 & 배포 (Continuous Delivery & Deployment)
CD (지속적 제공/배포)는 CI를 통과한 코드를 실제 운영 환경(프로덕션)에 배포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지속적 제공 (Continuous Delivery) : CI를 통과한 버전을 언제든지 배포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 배포는 사람이 수동으로 버튼을 눌러 트리거합니다.
- 지속적 배포 (Continuous Deployment) : Delivery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CI/CD 파이프라인을 통과한 모든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즉시 프로덕션에 배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개발자 핵심 Point
- CI/CD는 현대적인 DevOps 문화의 핵심적인 실천 방법입니다.
- 개발자는 코드 작성에만 집중하고, 빌드, 테스트, 배포와 같은 반복적인 작업은 자동화된 파이프라인에 맡깁니다.
- CI는 코드 품질을 높이고 통합의 어려움을 줄여주며, CD는 새로운 기능을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해줍니다.
- 대표적인 CI/CD 도구로는 Jenkins, GitLab CI, GitHub Actions, CircleCI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