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기술노트
기술노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3 프로그램 요소 기술/3 3 1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그리고 OpenAP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이 API로 개발을 한다. 어플리케이션에서 또는 플랫폼에서 API를 제공한다. 그 API를 사용해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가 있다. API는 인터페이스이고, 그 것을 호출한다고 하는데, 부르면 해당 API가 실행된다. 프로그램 내부에서만 사용을 했다면 함수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외부에서 그 함수를 호출하려면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데, 이 인터페이...)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3 프로그램 요소 기술/3 3 0 함수 클래스 모듈 객체 인스턴스 컴포넌트 AP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영상으로 보시면 더 편하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만든다 라는 것은 특정 기능을 개발한다입니다. 특정 기능이라고 하면 가장 작은 단위는 함수입니다. 함수는 f(x) = ax + b 와 같은 기존에 아시는 함수와도 비유할 수 있고, a, b를 넣으면 더해주는 sum(a, b)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특정 기능을 해주는 단위가 함수입니다. 함수 - 가장 기본적인 기능...)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2 Java언어의 장단점/3 3 3 서버사이드 스크립트란 Server Side Script(JSP, ASP, PH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서버 편 스크립트이다. 서버 클라이언트 개념을 살짝 언급하면 서버는 어딘가 존재하는 클라이언트를 대응하는 프로그램이고, 클라이언트는 내가 보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내가 보고 있는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이다. 내가 보고 있는 스마트폰앱이 클라이언트이다. 요즘은 컴퓨터에서만 또는 스마트폰에서만 동작되는 프로그램은 거의 없다고 생각된다. 시계앱이...)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2 Java언어의 장단점/3 2 2 jQuery는 무엇인가 자바스크립트는 쉽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Query는 이름만 봐서는 뭔가 쿼리를 할거 같아서 DB관련된 것이 아니냐 싶기도 한데, jQuery는 Javascript 라이브러리로 생각하면 된다. 물론 DB관련된 기능도 사용할 수 있기는 하다. 하지만 Query라는 선입견을 가질 필요는 없다. 자바스크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만한 것들을 모아두고, 또 사용이 편리하게 한 개발 라이브러리이다. Javascript도 매우 접근이 쉬운 언어이지만,...)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2 Java언어의 장단점/3 2 1 Java 기반 서버 - J2E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J2EE는 Java로 만들어지는 서버 기반 프로그램이다. 약어는 Java 2 Enterprise Edition인데, 이름이 갖지는 고유한 의미보다는 버전 정도를 나타낸다. 한때 전산시스템 도입시 고려되어졌고, 많이 적용되었던 형태이다. 전산을 보면 유행이 있는 것같다. 최근 유행이야 말할 것도 없이 빅데이터, 머신러닝, 인공지능일것이다. 빅데이터를 이미 업계에 한번 지나간 것이고, 이러...)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1 C언어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C언어의 중요한 개념은/3 1 1 C++은 C언어와 무슨 차이예요/매번 헷갈리는 오버로딩, 오버라이딩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은 기본적으로 객체 지향 개념 중 하나이다. 객체를 기반으로 개발을 한다고 할 때는 그 객체가 가지는 속성을 잘 활용을 해야 한다. 객체를 가지고 여러가지 관점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객체를 지정하고 한번만 사용하고 약간 내용이 바뀐 것을 다시 객체를 만들어서 해야 한다면 비효율적이다.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은 재사용관점으...)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1 C언어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C언어의 중요한 개념은/3 1 1 C++은 C언어와 무슨 차이예요/객체지향을 쉽게 설명하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객체지향이라는 말은 객체를 지향한다는 의미이다. 객체를 지향하는 것이 무슨 말일까? 그렇다면 이 전에는 무엇을 지향했을까? 프로그램은 순차적인 진행 절차를 가지고 개발이 되어왔다. 어떤 기능이 동작하기 위한 로직들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것만 놓고 보면 객체지향이라고 할 수는 없다. 순차적 프로그래밍이다. 순차적 프로그램 당시 무언가를 지향한다...)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1 C언어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C언어의 중요한 개념은/3 1 1 C++은 C언어와 무슨 차이예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은 C에 ++이 더해졌으니 뭔가 더 좋아졌다고 볼 수 있는데, 이 좋아졌다는 점이 객체 지향이라는 개념이다. 객체 지향 개념은 객체를 지향했다는 것인데, C언어의 경우는 순차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C++의 경우에는 객체가 중심이 된다. 객체라는 개념부터 이해를 해야 할텐데, 객체는 우리 주변에 모든 것이라고 할 정도로 모든 것이 객체로 되어 있다. 사람도...)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7 코딩 테스트, 알고리즘 시험 준비 (자바 언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무조건 외워야 하는 코드들, 공부해본 사람들은 저절로 외워진다고 하지만, 여기까지는 입력하고 시작해야 합니다. 메인 함수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BufferedWrit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Solution { static int a, b, c;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6 앱 개발 어떻게 하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 것은 어떤 기능들을 가진 것을 만드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 자체는 절차를 만들고, 특정 기능이 불려지면 해당 기능에 맞게 로직을 만드는 것이다. 어떤 프로그램을 만드느냐에 따라서 약간씩은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앱을 개발한다고 하면 어떤 앱을 개발을 할지 생각하는 것이다. 그 앱은 어떤 화면을 가질 지 생각해본다. 그...)
- 2025년 2월 5일 (수) 16:19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5 자료구조 꼭 알아야 할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자료 구조라는 것을 꼭 알아야 할까? 컴퓨터를 조금 공부한 상황이라면 자료구조라는 말에 먼저 머리가 아플수도 있다. 개발을 할 때 꼭 알아야 할까?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긴 하다.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어떤 데이터를 다룬다. 회원 관리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회원 데이터를 다룬다. 회원의 정보를 기억하고, 보여주기도 하고, 탈퇴할 수도...)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3 프로그램 요소 기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여러가지 프로그램 개발의 요소 기술들에 대한 설명이다.)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2 Java언어의 장단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로그램 Java라는 것은 커피 이름에서 왔다고 한다. 어찌 이렇게 근사한 이름을 지었는지. C++이후에 개발이 되었고, C++개발 시 여러가지 어려운 점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바꾼 부분이 있다. 기본적으로 객체 지향이라는 관점은 동일하다. Java가 기존 언어와 극명한 차이가 있다면 메모리의 사용 방법에 있을 것이다. 기존 C나 C++은 메모리를 사용할 때 메모리 할당...)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3 프로그램 개발/3 1 C언어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C언어의 중요한 개념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언어는 개발자들이 접할 수 있는 처음 언어이거나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가 되는 언어이다. B언어 다음으로 개발되어졌다고 하는데, B언어는 Bell 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고 한다. 켄 톰슨은 BCPL언어를 필요에 맞추어 개조해서 "B"언어(언어를 개발한 벨 연구소의 B를 따서)라 명명했고, 데니스 리치가 이것을 개선하여 C 언어가 탄생했다. 모든 명령에 대해서 코드로 되...)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2 클라이언트 and 서버 그리고 WAS, DB서버/2 2 6 토렌토라는 게 P2P(Peer-to-Peer) 개념이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P2P는 중앙에 서버가 없는 것이다. 사실 서버 클라이언트든 웹사이트이든 모든 서비스에서 서버가 없는 것은 없다. 서버가 없다면 접속을 어디로 해야 할지도 모를 것이다. 접속할 대상이 없다. 물론 P2P의 방식에 따라서 Peer리스트를 가지고 있는 방식도 있고, 접속 대상을 연결해주는 방식도 있다. 기본적으로 중앙에서 서버가 모든 것을 처리해주지는 않는다는 것...)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2 클라이언트 and 서버 그리고 WAS, DB서버/2 2 5 폴링 vs 이벤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시스템 내에 동작 중에 폴링 방식과 이벤트 방식이 있다. 폴링 방식은 어떤 상태인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보는 것이다. 폴링 방식을 예를 든다면 우편물이 왔는지를 매번 내가 가서 보는 것이다. 이렇게 매번 오가는게 폴링이다. 주기적으로 알아보는 만큼 오지 않았을 때 나가보는 동안 비효율이 발생을 한다. 이벤트 방식은 어떤 상태가 되면 알려주는 것이다. 매...)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2 클라이언트 and 서버 그리고 WAS, DB서버/2 2 4 인터넷 쿠키와 세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컴퓨터에서의 쿠키도 먹는 쿠키에서 표현이 나왔을지 모른다. 개발을 하다보면 쿠키로 구웠냐 라는 표현을 하는 것 봐서는 그럴 수 있다. 변수 값을 단말, 클라이언트쪽에 저장하는 개념이 쿠키이다. 달리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클라이언트나 서버에 왜 무엇을 저장할까 보면 이것이 왜 나왔을지 생각해보면서 개념을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웹은...)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2 클라이언트 and 서버 그리고 WAS, DB서버/2 2 3 클라이언트 서버 통신 방법 & HTT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방법 클라이언트는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측에서 먼저 요청을 한다. 요청을 한다는 것은 어떤 기능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카카오톡도 사용자 중 누군가가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게 된다. 카카오톡의 서버가 어떤 구조인지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기본적으로 서...)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2 클라이언트 and 서버 그리고 WAS, DB서버/2 2 2 ESB는 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ESB(Enterprise Service Bus)는 버스이다. 버스를 타고 데이터들이 이동을 한다. 여기서 BUS도 개념은 유사하다. 기업 내 서비스 동작되어질 때는 여러개의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이 시스템들을 연결 시켜주고자 한 것이 ESB이다. IT 시스템은 수차례에 걸쳐서 통합되었다가 분산되었다가 다시 통합되기를 반복하였다. 시대적으로 유행도 있을 것이고, IT쟁이들이 자...)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2 클라이언트 and 서버 그리고 WAS, DB서버/2 2 1 컴퓨터 통신 방식 중 동기 비동기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동기와 비동기가 있다. 이 중 비동기라는 한글은 영어로 Asynchronous라고 영어로 표기한다. Asynchronous는 대표적으로 Ajax라는 기술의 첫번째 약자에서 사용된다. Ajax(Asynchronous Javascript XML)인데, 이 기술의 특징을 보면 비동기의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다. 홈페이지에 접속을 했는데, UI나 테이블 또는 이미지는 그대로 있고, 물론 이미지 갱신도...)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1 프로토콜/HTTP 프로토콜 중 429 에러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네이버 에러 발생 429 에러란? HTTP요청이 과다하게 몰리는 경우 그렇다면 얼마 정도의 서버로 네이버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을까요? 이렇게 가능한 이유는 HTTP Connection에서 발생되는 3-way 핸드쉐이킹 중에 있습니다. 요청만 하고, 마지막 세션 종료를 하지 않으면 계속 세션이 쌓이는 것이죠.)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1 프로토콜/2 1 5 DHCP는 편리하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DHCP는 Dynamic하게 IP를 부여 받고, 제공하는 방식이다. IP를 구지 설정하지 않고, DHCP로 설정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IP를 부여 받게 된다. IP를 구지 몰라도 되고, 셋팅하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IP는 고정IP가 있고, 동적IP가 있다. 고정IP는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서버에서 지정된 IP를 설정을 한다. 고정 IP를 사용한다. IP는 00.00.00.00 이런식으로 구성된다. 이런 경우는 사...)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1 프로토콜/2 1 4 NAT는 사설과 공인 IP 변환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NAT는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이다. 말 그대로 하면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해주는 것이다. IP는 내부 IP와 외부 IP 개념이 있는데, 외부 IP의 경우는 그 주소로 외부에서도 데이터를 전달할 수가 있다. 유일하게 존재하는 주소가 되고, 그것은 어디서든 접속이 된다. 내부 IP의 경우는 임의로 지정을 할 수가 있고, 내부에서만 연결이 가능하다. NAT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외부...)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1 프로토콜/2 1 3 SNMP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이다.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대상은 네트워크 장비, 서버 가동 상태, 시스템 성능, 네트워크 트래픽이다. 네트워크게 연결되어 있는 장비와 서버를 일괄 감시할 수 있다. 정기적으로 질의를 던져서 확인하는 '폴링' 방식과 이상 발생 시에 에이전트가 통지하는 '트랩' 방식이 있다. 폴링은 리소스 상태를 모니터링할 때 사용한다. UDP프로토콜...)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1 프로토콜/2 1 2 라우터 라우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라우터는 게이트 웨이이다. 이기종간의 네트워크 망을 연결할 때 또는 외부 망과의 관문 정도이다. 그리고 라우팅이라는 표현은 거쳐 가는 길이다. 집에 돌아오는데 지하철을 타고, 버스를 타고 왔다면 그것이 경로이고, 라우팅이다. 라우터는 그 중 지하철을 찍고 나온 게이트 정도일 것이다. IP만 있으면 인터넷망을 통해서 대상 IP를 찾을 수 있다. 이렇게 찾게 해...)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1 프로토콜/2 1 1 TCP IP의 시작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터넷의 시초는 1969년 미국 국방성의 연구로부터 시작됐다. 기술 발전은 전쟁, 포르노 산업등에서 시작됨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그리 유쾌한 일은 아니지만, 사람들의 필요에 의해서 출발하고 그것이 사업이 되었을 것이다. 아파넷이라고 불리었고, 대학 연구기간과에서 실험적으로 시작이 되었고, 서로간의 통신을 위해서 시작이 되었다. 아파넷은 점점 커지기 시...)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2 클라이언트 and 서버 그리고 WAS, DB서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클라이언트는 우리가 보고 있는 컴퓨터, 스마트폰이 클라이언트이다. 클라이언트는 손님이기도 하고, 요청자이기도 하다. 엄밀하게 말하면 컴퓨터나 스마트폰이 클라이언트는 아니다. 그 운영체제 내에서 클라이언트로 동작되는 것들이 클라이언트이다. 클라이언트로 동작된다는 것은 요청자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아서 화면에 결과를...)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2 인터넷의 탄생과 원리/2 1 프로토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로토콜은 주는 쪽과 받는 쪽간의 약속이다.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절차이다. 통신 규약에 해당된다. 상호간에 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서로 약속을 한다. 무슨 데이터를 먼저 보내고 그 다음에 무슨 데이터를 보내고, 그 내용이 뭔가에 따라서 계속 전달이 되거나 멈추거나 하는 등의 약속이다. 내용 자체라기 보다는 전달해주거나 전송을 위한 모든 것을 포...)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5 컴퓨터 주변 장치/1 5 1 컴퓨터에서 인터럽트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터럽트 걸지 말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한창 무언가에 집중을 하고 있는데, 옆에 친구가 말을 거는 것이다. 한참 일을 하고 있는데, 상사가 다른 일을 하라고 하는 것이다. 인터럽트는 하던 일 중간에 끼여 들어오는 일이다. 인터럽트를 걸 수 있고 걸린다는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무언가 더 빠른 우선순위를 가지고 해야되는 일로 바뀐다. 예를 들면 예...)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6 NET 운영체제에 대해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NET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운영체제 계열이다. 계열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그 이전 버전은 .NET이라는 이름이 아니라 NT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NT 이전에는 윈도우 OS를 사용하였다. 윈도우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빌게이츠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빌게이츠는 DOS라는 운영체제 부터 만들었고, 이 운영체제의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였다. 이 말은 산업용, 기업용...)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5 리눅스는 무엇일까요 초보자분들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리눅스는 유닉스를 모태로 한다. 유닉스에서 나왔다고 봐도 되지만, 리눅스는 사실 오픈소스 개념으로 출시되고, 리눅스 제단이 있지만, 누구가 소스를 수정하여 재컴파일할 수 있다. 리눅스로는 주로 서버를 운영한다. 서버라는 것을 잠시 설명하자면,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클라이언트에 해당된다. 클라이언트는 우리가 보는 화면에 떠 있는 프로그램 또는...)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4 세마포어는 언제 필요할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PU는 어떤 식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효율이 매우 달라질 수 있다. CPU가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되어져야 하는데, 어떤 일을 얼마만큼의 시간을 하게끔 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세마포어, 세마포어라는 말은 철도나 해군의 수기 신호에서 나왔다고 한다. 정지 또는 출발을 가르켜준다. 컴퓨터에 보면 메모리에 접근이 때론 막을 필요가 있고, 여러개의 프로그램 엄밀...)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3 운영체제와 스마트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운영체제는 시스템을 구동하고, 시스템 구동을 통해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 프로그램이다. 운영체제도 소프트웨어이고, 누군가는 개발한 것이고, 그것도 수행이 되고 있는 것이다. 운영체제위에서 다른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것이다. 운영체제는 CPU에게 일을 가져다 주고 해당하는 일들을 수행 받아 다음 일들을 처리한다. 몇가지 대표적...)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2 프로그램은 어떻게 여러개가 동작될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PU는 하나인데, 어떻게 여러개의 명령어를 실행할까? 멀티쓰레드 멀티프로세스라는 조금은 어려운 말이 나온다. 멀티 쓰레드를 설명하면 쓰레드라는 조그만 일단위가 여러개가 동시에 진행이 된다. 동시에 라는 말을 다시 한번 쪼개보면 시분할이다. 엄밀히 말하면 여러개의 프로그램이 순차적으로 조금씩 실행되는 것이다. 너무 빠르게 돌아가기때문에 동시에 실...)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1 프로그램, 프로세스, 프로세서 차이가 모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로그램이 떠있다' 라는 표현을 씁니다. 누가 만든 말일까요? 프로그램이 어디에 떠 있는 걸까요? 물위도 아니고, 하늘도 아니고, 프로그램이 떠있냐는 질문을 하면 떠있다 안떠있다라고 말을 합니다. 그것은 화면을 보고 그 프로그램이 화면에 보이면 떠 있는 것이고, 안보이면 안떠있다고 말할 것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안보여도 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프로그램...)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1 3 쓰레드 동기화 (뮤텍스, 크리티컬세션, 세마포어, 이벤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쓰레드 동기화 개념 쓰레드는 기본적으로 비동기식으로 동작한다. 여러 개의 쓰레드가 동시에 수행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자원에 대한 충돌이나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류는 시스템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할 수 있는 데드락(Deadlock)과 같이 치명적인 상태로 될 수 있다. 쓰레드 동기화라는 것은 여러 개의 쓰레드가 동시에 동작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예...)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1 2 CPU 스케쥴링 및 문맥교환(Context-switch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PU 스케쥴링의 개념 CPU를 스케쥴링 한다는 것은 어떤 쓰레드가 어떤 우선순위로 CPU를 얼만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고 수행하는 과정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보면 CPU스케쥴링 한다는 것은 쓰레드가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중앙처리를 할당 받는 정책을 계획하고 처리하는 방식이다. CPU 스케쥴링의 목적 시간당 처리되는 프로세스의 수(throughput)를 높이고 CPU의 효율을...)
- 2025년 2월 5일 (수) 16:18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1 1 프로세스, 쓰레드, 멀티쓰레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프로세스/쓰레드의 개념 프로세스는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상태로 특정 메모리 공간에 프로그램의 코드가 적재되고 CPU가 해당 명령어를 하나씩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운영 체제에서는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쓰레드는 운영 체제에서 프로세서 시간을 할당하는 기본 단위로 하나 이상의 쓰레드가 해당 프로세스 내에서 코드를 실행한...)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4 운영 체제의 핵심, 커널/1 4 0 운영 체제의 개념 및 역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운영체제 폰노이만이 제시한 컴퓨터 모델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은 크게 CPU, 메모리,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각각의 하드웨어를 연결했다고 해서 우리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드웨어는 단지 그 하드웨어의 특정 기능을 수행 할 뿐이다. 예를 들면 CPU는 연산을 메모리는 순간 기억을 디스크는 저장하는 역할을 물리적...)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3 컴퓨터 내 디스크란/1 3 3 디스크의 확장 RAI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RAID는 보통 사람들에게는 익숙하지 않다. 그럴 수 있는 것은 보통 사람들은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고 과거 생각해보면 컴퓨터에 하드디스크를 2개 또는 그이상 달아서 사용했다. RAID라는 것은 이러한 하드디스크를 여러개 연결해서 쓰는 방식의 디스크를 말한다. 데이터를 분할해서 복수의 자기 디스크 장치에 대해 병렬로 데이터를 읽는 장치 또는 읽는 방식으로 여...)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3 컴퓨터 내 디스크란/1 3 2 디스크 스케쥴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디스크 스케쥴링도 다뤄볼만한 주제이다. CPU와 메모리 사이에서 메모리에 어떤 프로그램 일부를 올릴 것인가에 따라서 성능이 좌지 우지 되는 것처럼 디스크도 어떤 방식으로 검색하는 것이 성능이 좋을지에 대해서는 생각해볼만하다. 디스크 내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구역을 섹터라고 하는데, 이 섹터를 헤드라는 것이 움직이면서 데이터를 찾아다닌다. 저장...)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3 컴퓨터 내 디스크란/1 3 1 하드디스크가 SSD로 간 까닭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디스크 이야기를 하면 이제는 SSD를 알아야 한다. Solid State Driver 낸드플래시메모리로 만든 저장 매체로, 노트북 PC 등 모바일기기의 차세대 저장장치이다. 쉽게 말하면 메모리 방식의 하드디스크이다. 사실 이러한 메모리 기반의 디스크는 오래전부터 연구되고 발전되고 있었다. 그것이 컴퓨터에 적용되기까지 시간이 걸렸을 뿐이다. MP3가 그러했고, 디지털 카메라가...)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2 메모리에 대해서/1 2 4 가상 메모리 (Virtual Memory) 페이징 단편화 세그먼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가상메모리의 개념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는 그 한계가 있다. 그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 중에 하나가 바로 가상 메모리이다. 가상 메모리를 물리적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여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가상 메모리의 정의 가상 메모리라는 것은 물리적 메모리보다 보다 많은 메모리를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크의 일부를...)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2 메모리에 대해서/1 2 3 메모리에서 지역성이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메모리에서 지역성이란 ? 메모리에 어떤 곳에 프로그램의 일부를 둘 것인지도 관건이다. CPU는 메모리의 어떤 위치에서 값들을 가져오는데 그 해당하는 내용이 메모리에 없다면 다시 하드디스크로부터 해당하는 파일의 일부를 메모리로 불러 들여야 한다. 그래서 Hit율이라는 말이 있다고 하였는데, Hit가 잘되어야 성능이 좋을텐데, 그렇다면 어떤 값들이 더 사용되...)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2 메모리에 대해서/1 2 2 캐시 메모리 (Cache Memory) 개념, 기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ache Memory는 메인 메모리와 CPU간의 데이터 속도 향상을 위한 중간 버퍼 역할을 하는 CPU내 또는 외에 존재하는 메모리이다. 전체 시스템의 성능의 개선을 시킬 수 있는 메모리이다. 캐시는 종종 듣게 된다. 캐시 된 거 아니야? 라는 말을 하기도 하고, 캐시 되어 있어서 빠른거야 라는 말을 하기도 한다. 캐시는 잠시 저장해둔다는 의미이고 기능이다. 캐시 메모리라고...)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2 메모리에 대해서/1 2 2 메모리 분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메모리 분류 RAM(Random Access Memory)는 주기억 장치에서 사용되며 자료 저장 방식, 형태별, 사용처에 따라서 메모리를 분류할 수 있다. 자료 저장 방식에 따른 분류 자료 저장 방식에 따른 분류로 정적인 방식과 동적인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는 SRAM(Static RAM)과 DRAM(Dynamic RAM)으로 나뉘는데, DRAM은 캐패시터에 전하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소자들...)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2 메모리에 대해서/1 2 1 메모리 동작 원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기억 소자로 구성된 메모리 일반적으로 메모리라고 하면 기억이라는 개념이다. 컴퓨터에서 말하는 메모리는 기억소자 즉 반도체를 의미한다. 반도체는 특성상 전류를 흐르게도 하고 흐르지 않게도 하는 특징이 있다. 이를 이용해서 임시적인 내용들을 기억하게 만드는 것이다. 컴퓨터는 이진 1과 0으로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기억 소자는 상태가 ON인지 OFF인지 수준...)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2 메모리에 대해서/1 2 0 메모리가 왜 컴퓨터의 전체 성능을 좌우할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PU가 일을 하려면 일의 내용이 CPU로 전달이 되어야 한다. 이 명령어나 데이터는 파일에 일부로 담겨있다. 파일은 하드 디스크에 저장이 되어 있다. 파일의 일부 내용이 하드 디스크에서 CPU까지 전달하려면 데이터가 BUS를 타야 한다. 컴퓨터 안에도 버스가 있다. BUS의 약어를 찾아봐도 나오지 않는 거 봐서는 우리가 타는 BUS에서 유래되었다고 생각해도 될거 같다. 개...)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1 컴퓨터를 구성하는 요소/1 1 2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아래 영상 한번 보세요~ 10분 보시면 전공자 만큼 아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구조는 크게 CPU, 메모리, 디스크로 나뉘어 있습니다. CPU ALU(Arithmetic Logic Uit) + 레지스터 산술연산, 제어 캐시메모리 CPU와 메모리 사이에 존재하면서 명령어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의 일부분이 메모리에 올라오고 이때 프로세스라고 하며 메모리에는 여러 프로세스의 일...)
- 2025년 2월 5일 (수) 16:17 Admin 토론 기여님이 1 컴퓨터의 시작/1 1 컴퓨터를 구성하는 요소/1 1 1 CPU의 구성 및 종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CPU 개요 컴퓨터의 핵심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폰노이만 구조 컴퓨터 시스템을 이루는 3대 구성이 있다면 CPU, 메모리 그리고 디스크이다. 여기에 I/O까지 추가 된다면 그것을 컴퓨터를 이루는 기본 골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을 제안 한 것이 폰 노이만이다. 주요 특징은 명령어/데이터 로드/실행/저장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과 데이터/프로그램 메모리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