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기술노트
기술노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9월 6일 (토) 02:41 Admin 토론 기여님이 컨테이너.wik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 2025년 9월 6일 (토) 02:41 Admin 토론 기여님이 클라우드 컴퓨팅.wik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 2025년 9월 6일 (토) 02:41 Admin 토론 기여님이 CI CD.wik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 2025년 9월 6일 (토) 02:41 Admin 토론 기여님이 API.wik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 2025년 9월 6일 (토) 02:41 Admin 토론 기여님이 데이터베이스 정규화.wik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 2025년 9월 6일 (토) 02:14 Admin 토론 기여님이 미디어위키:Common.css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이 CSS 설정은 모든 스킨에 적용됩니다: body, #content, #mw-content-text, .mw-body { font-family: "Malgun Gothic", "맑은 고딕", sans-serif !important; })
- 2025년 9월 6일 (토) 02:13 Admin 토론 기여님이 CI C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CI/CD == '''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부터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버전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 방법론입니다. 'CI(Continuous Integration)'와 'CD(Continuous Delivery/Deployment)'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 === 🔄 CI (지속적 통합) === '''CI (지속적 통합)'''는 여러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주기적으로 중앙 저장소(예:...)
- 2025년 9월 6일 (토) 01:49 Admin 토론 기여님이 SJ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SJF 스케줄링 알고리즘 == '''SJF (Shortest Job First)'''는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한 종류로, 준비 큐(Ready Queue)에 있는 프로세스 중에서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것을 먼저'''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알고리즘의 주된 목표는 시스템의 평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 === ✌️ 두 가지 방식: 비선점과 선점 === SJF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
- 2025년 9월 6일 (토) 01:39 Admin 토론 기여님이 메모리 쓰기정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메모리 쓰기 정책 (Write Policy) == CPU 캐시와 메인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쓰기 동작 관리 방법을 '''쓰기 정책'''이라고 합니다. 캐시에 데이터 쓰기 작업이 발생했을 때, 이 변경 사항을 언제 메인 메모리에 반영할지를 결정하는 규칙입니다. ---- === 📝 Write-Through (관통 쓰기) === 캐시에 데이터를 쓸 때, '''메인 메모리에도 동시에''' 쓰는...)
- 2025년 8월 10일 (일) 15:14 Admin 토론 기여님이 Elastic Beanstalk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Elastic Beanstalk)
- 2025년 8월 10일 (일) 15:14 Admin 토론 기여님이 CloudFormati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CloudFormation)
- 2025년 8월 10일 (일) 15:14 Admin 토론 기여님이 CloudWatch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CloudWatch)
- 2025년 8월 10일 (일) 15:14 Admin 토론 기여님이 ELB (Elastic Load Balanc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ELB (Elastic Load Balancing))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Spot Instance (스팟 인스턴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Spot Instance (스팟 인스턴스))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Reserved Instance (예약 인스턴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Reserved Instance (예약 인스턴스))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Multi-AZ (Multi-Availability Zon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Multi-AZ (Multi-Availability Zone))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Auto Scali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Auto Scaling)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CloudFro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CloudFront)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Security Grou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Security Group)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DynamoDB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DynamoDB)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RDS (Relational Database Service))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VPC (Virtual Private Clou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VPC (Virtual Private Cloud))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S3 (Simple Storage Servic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S3 (Simple Storage Service))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EC2 (Elastic Compute Cloud)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EC2 (Elastic Compute Cloud))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Lambd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Lambda)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추천 영상 · 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추천 영상 · 책)
- 2025년 8월 10일 (일) 14:44 Admin 토론 기여님이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자동 업로드: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2025년 8월 6일 (수) 17:41 Admin 토론 기여님이 TC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TCP'''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주로 웹페이지 보기, 이메일 보내기 등에서 사용됩니다. ---- == 🔍 TCP 개요 == TCP는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반드시 연결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 2025년 7월 19일 (토) 08:48 Admin 토론 기여님이 Gemini cl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Gemini CLI – 설치, 설정 및 사용 튜토리얼 (f‑Izv0ZIeQs)](https://www.youtube.com/watch?v=f-Izv0ZIeQs&utm_source=chatgpt.com) 아래는 영상 기준으로 간단하게 정리한 **Gemini CLI 설치 및 실행 가이드**입니다. 미디어위키에 바로 업로드하기 좋도록 구성했어요! --- ## == 1. Node.js 설치 확인 == ```bash node -v ``` * 버전이 **18 이상**이어야 정상 작동합니다. * 설치되지 않았다면 [Node.js 공식...)
- 2025년 7월 17일 (목) 22:49 Admin 토론 기여님이 Jav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Java, JSP, Servlet, Spring, Spring Boot 개요 = == 🧱 Java란? == * '''Java'''는 플랫폼 독립적인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 한 번 작성하면, 어느 운영체제에서도 실행 가능한 "Write Once, Run Anywhere" 철학을 따릅니다. * Java로 만든 프로그램은 컴파일 후 '''바이트코드(.class)'''로 변환되어 JVM(Java Virtual Machine) 위에서 실행됩니다. <syntaxhighlight lang="java"> public class HelloWorld...)
- 2025년 7월 13일 (일) 12:01 Admin 토론 기여님이 프로그래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프로그래밍 (Programming) = '''프로그래밍'''이란 컴퓨터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정확하고 상세하게 명령을 내리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행위를 넘어, 문제 해결을 위한 논리적인 절차를 설계하고 이를 코드로 구현하는 창의적인 활동입니다. == 핵심 개념 == 컴퓨터는 스스...)
- 2025년 7월 13일 (일) 08:45 Admin 토론 기여님이 Thymeleaf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Thymeleaf란? = '''Thymeleaf(타임리프)'''는 HTML을 서버에서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템플릿 엔진'''입니다. Spring Boot와 잘 연동되며, JSP의 대체재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HTML 문서 안에 `th:`로 시작하는 속성을 추가해서 → 서버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반복문, 조건문 등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 ✨ 왜 사용하는가? = 기존 JSP는 HTML과 Java 코...)
- 2025년 7월 13일 (일) 08:45 Admin 토론 기여님이 타임리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Thymeleaf란? = '''Thymeleaf(타임리프)'''는 HTML을 서버에서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템플릿 엔진'''입니다. Spring Boot와 잘 연동되며, JSP의 대체재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HTML 문서 안에 `th:`로 시작하는 속성을 추가해서 → 서버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반복문, 조건문 등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 ✨ 왜 사용하는가? = 기존 JSP는 HTML과 Java 코...) 태그: 시각 편집: 전환됨
- 2025년 7월 5일 (토) 07:18 Admin 토론 기여님이 MS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는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고 독립적인 서비스'''로 나누어 개발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입니다.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배포·확장·관리'''할 수 있고, 서비스 간에는 '''API'''를 통해 통신합니다. 예시: 넷플릭스, 아마존, 쿠팡 등 대규...)
- 2025년 6월 28일 (토) 12:4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ava exe.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2:4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ava exe.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2:0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vm.jpe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2:0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vm.jpe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1:58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Http---www.itworld.co.kr-sites-default-files-image-2018-09-jw jvm overview 3x2 1200x800-100758586-large(1).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1:58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Http---www.itworld.co.kr-sites-default-files-image-2018-09-jw jvm overview 3x2 1200x800-100758586-large(1).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07:58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ava JVM.web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07:58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ava JVM.webp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6월 25일 (수) 13:03 Admin 토론 기여님이 Aj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JAX의 정의 및 필요성 = == AJAX란? ==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 *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웹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아 웹 페이지의 일부만 동적으로 갱신하는 기술 * 핵심 포인트: ** 자바스크립트와 브라우저 내장 객체(XMLHttpRequest, fetch) 활용 ** 비동기(Async) 방식으로 동작 ** 최근에는 XML 대신 JSON을 주로 사용 == 왜 필요한가? ==...)
- 2025년 6월 24일 (화) 20:37 Admin 토론 기여님이 REST api vs RESTful ap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RESTful API vs 비RESTful API 비교 == RESTful API는 REST 원칙(자원 중심 URI, HTTP 메서드의 의미, 상태 코드 사용 등)을 따르는 반면, 비RESTful API는 이를 지키지 않아 구조적으로 일관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 📊 비교 표 === {| class="wikitable" |+ '''RESTful API vs 비RESTful API''' ! 구분 !! 비RESTful API !! RESTful API !! 설명 |- | URI 설계 || <code>/getUser?id=1</code> || <code>/user...)
- 2025년 6월 19일 (목) 21:20 Admin 토론 기여님이 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터넷은 인터넷 프로토콜 제품군(TCP/IP)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상호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로벌 네트워크입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정보 및 서비스를 교환하고 수십억 개의 장치와 사용자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은 통신, 상업, 교육, 엔터테인먼트에 혁명을 일으켰으며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습니다. 웹 브라우징과 인스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