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술노트
Admin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8월 10일 (일) 14:44 판 (IT 용어 자동 업로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비유로 쉽게 이해하기

API는 **'식당의 메뉴판과 웨이터'**와 같습니다. 손님(프로그램)은 메뉴판(API 명세)을 보고 웨이터(API)에게 "파스타 주세요"라고 주문(요청)합니다. 그러면 주방(서버)에서는 주문에 맞춰 요리를 하고, 웨이터는 완성된 요리(결과)를 손님에게 가져다줍니다. 손님은 주방의 복잡한 요리 과정을 전혀 알 필요 없이, 약속된 주문 방식만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개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리 정의된 규칙과 도구의 집합입니다. 즉, 프로그램 간의 '의사소통 창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세 설명

API는 복잡한 시스템의 내부 구현을 숨기고, 개발자가 사용하기 쉬운 기능만을 노출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날씨 앱 개발자는 기상청의 복잡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몰라도, 기상청이 제공하는 날씨 API에 "서울 날씨 알려줘"라는 정해진 형식의 요청을 보내 '맑음, 25도'라는 결과를 받아 앱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API는 서비스 제공자가 자신의 기능을 외부 개발자나 다른 서비스가 쉽게 가져다 쓸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현대의 많은 서비스들은 다른 서비스의 API를 조합하여 새롭고 강력한 기능을 만들어냅니다. (예: 지도 앱에 맛집 정보 API와 길 찾기 API를 결합)

왜 중요할까요?

  • 개발 효율성 증대: 이미 만들어진 기능을 API를 통해 쉽게 가져다 쓸 수 있어, 처음부터 모든 것을 개발할 필요가 없습니다.
  • 서비스 확장성: 다른 서비스들이 우리 서비스의 API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우리 서비스의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핵심: 잘게 쪼개진 기능(마이크로서비스)들이 서로 통신할 때 API가 그 중심 역할을 합니다.

주요 특징

  • 추상화(Abstraction): 내부의 복잡한 로직은 숨기고, 필요한 기능만 외부에 노출합니다.
  •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정해진 규칙에 따라 통신하므로, 누가 만들었는지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재사용성: 한 번 잘 만들어진 API는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플랫폼 독립성: API는 주로 HTTPJSON 같은 웹 표준 기술을 사용하므로, 특정 플랫폼이나 언어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사용 사례

  • 소셜 로그인 (구글/네이버/카카오 계정으로 다른 사이트에 로그인)
  • 지도 앱에 맛집, 호텔 등 외부 정보 표시
  • 쇼핑몰 사이트의 결제 기능 (결제 대행사 API 연동)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서비스 간 통신
  • 클라우드 서비스(AWS, GCP, Azure)를 코드로 제어

관련 서비스/용어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