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우코드 & 노코드

기술노트
Admin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9월 6일 (토) 05:05 판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로우코드 & 노코드 (Low-code & No-code)

로우코드노코드는 전문적인 프로그래밍 지식 없이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드래그 앤 드롭(Drag-and-drop) 방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 또는 접근 방식입니다.

전통적인 개발 방식의 복잡성과 높은 진입 장벽을 낮춰, 더 많은 사람들이 빠르고 쉽게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로우코드 (Low-code)

로우코드는 최소한의 코딩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플랫폼이 제공하는 시각적인 도구로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하되, 필요에 따라 개발자가 직접 코드를 작성하여 세부적인 로직이나 특정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 대상 : 전문 개발자, 파워 유저
  • 목표 : 개발 생산성 극대화
  • 특징 : 빠른 개발 속도와 커스터마이징의 유연성을 모두 제공

🚫 노코드 (No-code)

노코드는 코딩을 전혀 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방식입니다. 미리 만들어진 템플릿과 컴포넌트를 조합하는 것만으로 모든 기능을 구현합니다.

  • 대상 : 비개발자, 현업 실무자, 기획자
  • 목표 : 개발의 민주화
  • 특징 : 사용하기 매우 쉽지만, 플랫폼이 제공하는 기능 외의 복잡한 로직이나 커스터마이징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 개발자 핵심 Point

  • 로우코드/노코드 플랫폼은 시민 개발자(Citizen Developer)의 등장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현업 실무자가 IT 부서의 도움 없이 직접 필요한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입니다.
  • 개발자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로우코드/노코드 플랫폼에 맡기고, 더 복잡하고 핵심적인 비즈니스 로직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로우코드/노코드 플랫폼이 개발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개발의 생산성을 높이고, 개발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보완적인 도구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기업의 입장에서는 빠른 프로토타이핑, 업무 자동화, 비즈니스 부서의 요구사항 신속 대응 등을 위해 로우코드/노코드 플랫폼 도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