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 관리
기술노트
🤫 시크릿 관리 (Secret Management)
시크릿 관리는 API 키, 데이터베이스 접속 정보(아이디/비밀번호), 암호화 키 등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민감한 정보(시크릿, Secret)를 안전하게 저장, 관리, 배포, 교체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합니다. 현대적인 클라우드 및 DevOps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보안 관행입니다.
🤔 시크릿 관리는 왜 중요한가?
과거에는 많은 개발자들이 시크릿 정보를 소스 코드에 직접 하드코딩하거나, 설정 파일에 평문으로 저장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다음과 같은 심각한 보안 위험을 초래합니다.
- 소스 코드가 Git과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외부에 유출되면, 시크릿 정보가 그대로 노출됩니다.
- 여러 환경(개발, 테스트, 운영)에서 각기 다른 시크릿을 관리하기가 매우 복잡하고, 실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 시크릿 정보를 변경(교체)해야 할 때, 코드를 직접 수정하고 다시 배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시크릿 관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민감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중앙에서 통제하고 감사 추적을 가능하게 합니다.
⚙️ 시크릿 관리 방법
- 환경 변수 (Environment Variables) :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시크릿을 코드에서 분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환경의 변수로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해당 서버에 접근 권한이 있는 사람은 여전히 시크릿을 볼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 암호화된 파일 : 시크릿을 파일에 저장하되, 파일을 암호화하여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예: Ansible Vault)
- 전용 시크릿 관리 도구 (Secret Management Tools) : 시크릿의 저장, 접근 제어, 감사, 교체 등 모든 생명주기를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입니다. **가장 권장되는 방식입니다.**
vaulted, aws secrets manager 등
대표적인 전용 시크릿 관리 도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 HashiCorp Vault : 오픈소스로 시작하여, 현재 시크릿 관리 분야의 사실상 표준으로 여겨지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 AWS Secrets Manager : AWS 클라우드 환경에 통합된 완전 관리형 시크릿 관리 서비스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자격 증명을 자동으로 교체해주는 등 편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Google Cloud Secret Manager : 구글 클라우드(GCP)의 관리형 시크릿 관리 서비스입니다.
- Azure Key Vault : MS Azure의 관리형 시크릿 관리 서비스입니다.
💡 개발자 핵심 Point
- 시크릿 정보는 절대로 소스 코드와 함께 버전 관리 시스템에 저장해서는 안 됩니다.
- 애플리케이션은 실행 시점에 필요한 시크릿 정보를 환경 변수나 전용 관리 도구를 통해 동적으로 가져와야 합니다.
-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발한다면, 해당 클라우드 제공업체(CSP)가 제공하는 관리형 시크릿 관리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