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P
기술노트
🗺️ ISP (정보전략계획)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는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와 전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정보 시스템의 비전과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활동입니다. 즉, 기업의 미래 정보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인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ISP는 보통 3~5년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한된 IT 자원을 어디에 어떻게 투자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입니다.
🤔 ISP는 왜 필요한가?
체계적인 계획 없이 정보 시스템을 개발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간의 연동이 어려워 데이터가 고립됩니다.
- 유사한 기능이 여러 시스템에 중복으로 개발되어 자원이 낭비됩니다.
- IT 투자가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기술은 비즈니스와 무관하게 흘러갑니다.
ISP는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하고, 전사적인 관점에서 IT 투자의 방향을 설정하여, IT가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에 기여하도록 합니다.
⚙️ ISP 수립 절차 (일반적인 예시)
1. **환경 분석**: 기업의 내부 역량(강점/약점)과 외부 환경(기회/위협)을 분석합니다. (3C, SWOT, 5-Forces 등) 2. **현황 분석 (As-Is)**: 현재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기술 인프라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합니다. 3. **미래 모델 수립 (To-Be)**: 비즈니스 목표와 전략에 맞춰, 미래의 목표 비즈니스 모델과 이를 지원할 정보 시스템의 청사진(목표 아키텍처)을 설계합니다. 4. **이행 계획 수립**: 현황(As-Is)과 목표(To-Be)의 차이(Gap)를 분석하고, 목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과제들을 도출합니다. 각 과제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투자 비용과 일정을 포함한 상세한 로드맵을 수립합니다.
💡 기술사 핵심 Point
- ISP의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은 최고 경영진의 적극적인 지원과 참여입니다. ISP는 IT 부서만의 계획이 아닌, 전사적인 비즈니스 혁신 계획이어야 합니다.
- BPR(업무 프로세스 재설계)은 종종 ISP와 함께 수행됩니다. 비효율적인 현재의 업무 방식을 그대로 자동화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업무 프로세스 자체를 혁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EA(전사적 아키텍처)와 ISP는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ISP가 중장기적인 방향과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계획(Planning)'에 가깝다면, EA는 그 계획을 구체적인 아키텍처 청사진으로 표현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설계(Architecture)'에 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