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스 다이어그램

기술노트
Admin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9월 6일 (토) 05:53 판 (Gemini 벌크 업로더로 자동 업로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 시퀀스 다이어그램 (Sequence Diagram)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행위 다이어그램 중 하나로, 객체들 간의 메시지 교환 순서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표현하는 다이어그램입니다. 특정 기능이나 유스케이스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객체들이 어떤 순서로 상호작용하는지를 동적으로 보여줍니다.


🧱 시퀀스 다이어그램의 구성 요소

  • 액터 (Actor) : 시스템 외부에서 메시지를 보내거나 받는 주체. (사람 또는 외부 시스템)
  • 생명선 (Lifeline) : 객체가 존재하고 메시지를 주고받는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점선. 각 객체 아래로 수직으로 내려갑니다.
  • 활성 상자 (Activation Box) : 객체가 메시지를 받아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기간을 나타내는 직사각형. 생명선 위에 그려집니다.
  • 메시지 (Message) : 객체 간에 주고받는 통신. 화살표로 표현하며, 메시지 이름과 매개변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배치됩니다.

> * `동기 메시지 (Synchronous Message)` : 메시지를 보낸 후 응답을 기다리는 메시지. (실선 화살표) > * `비동기 메시지 (Asynchronous Message)` : 메시지를 보낸 후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메시지. (열린 화살표) > * `반환 메시지 (Return Message)` : 메시지에 대한 응답. (점선 화살표)

  • 프래그먼트 (Fragment) : 메시지 흐름의 특정 부분을 그룹화하여, 조건문, 반복문, 병렬 처리 등을 표현합니다. (예: `alt` (대안), `loop` (반복), `opt` (선택), `par` (병렬))

💡 정보처리기사 핵심 Point

  •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동적인 동작 흐름과 객체 간의 상호작용 순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특히 특정 유스케이스나 기능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어떤 객체들이 어떤 순서로 메시지를 주고받는지를 상세하게 분석할 때 사용됩니다.
  • 정보처리기사 시험에서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의 각 구성 요소의 표기법과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alt`, `loop`, `opt`, `par`와 같은 프래그먼트의 의미와 사용법을 정확히 구분하여 이해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