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기술노트
기술노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7월 5일 (토) 07:18 Admin 토론 기여님이 MS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는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고 독립적인 서비스'''로 나누어 개발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입니다. 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배포·확장·관리'''할 수 있고, 서비스 간에는 '''API'''를 통해 통신합니다. 예시: 넷플릭스, 아마존, 쿠팡 등 대규...)
- 2025년 6월 28일 (토) 12:4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ava exe.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2:4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ava exe.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2:0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vm.jpe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2:0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vm.jpe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1:58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Http---www.itworld.co.kr-sites-default-files-image-2018-09-jw jvm overview 3x2 1200x800-100758586-large(1).jp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11:58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Http---www.itworld.co.kr-sites-default-files-image-2018-09-jw jvm overview 3x2 1200x800-100758586-large(1).jp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07:58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ava JVM.webp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6월 28일 (토) 07:58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Java JVM.webp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6월 25일 (수) 13:03 Admin 토론 기여님이 Ajax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AJAX의 정의 및 필요성 = == AJAX란? == *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 * 페이지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 웹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아 웹 페이지의 일부만 동적으로 갱신하는 기술 * 핵심 포인트: ** 자바스크립트와 브라우저 내장 객체(XMLHttpRequest, fetch) 활용 ** 비동기(Async) 방식으로 동작 ** 최근에는 XML 대신 JSON을 주로 사용 == 왜 필요한가? ==...)
- 2025년 6월 24일 (화) 20:37 Admin 토론 기여님이 REST api vs RESTful api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RESTful API vs 비RESTful API 비교 == RESTful API는 REST 원칙(자원 중심 URI, HTTP 메서드의 의미, 상태 코드 사용 등)을 따르는 반면, 비RESTful API는 이를 지키지 않아 구조적으로 일관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 📊 비교 표 === {| class="wikitable" |+ '''RESTful API vs 비RESTful API''' ! 구분 !! 비RESTful API !! RESTful API !! 설명 |- | URI 설계 || <code>/getUser?id=1</code> || <code>/user...)
- 2025년 6월 19일 (목) 21:20 Admin 토론 기여님이 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터넷은 인터넷 프로토콜 제품군(TCP/IP)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상호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의 글로벌 네트워크입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정보 및 서비스를 교환하고 수십억 개의 장치와 사용자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은 통신, 상업, 교육, 엔터테인먼트에 혁명을 일으켰으며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습니다. 웹 브라우징과 인스턴트...)
- 2025년 6월 12일 (목) 14:55 Admin 토론 기여님이 장애 복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RTO와 RPO란? == '''RTO(Recovery Time Objective)'''는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복구가 완료되어야 하는 최대 시간**을 의미합니다. '''RPO(Recovery Point Objective)'''는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한 데이터 손실 허용 범위**를 뜻합니다. 예시로, RTO가 2시간이라면 장애 후 2시간 이내 시스템이 복구되어야 하고, RPO가 30분이라면 최대 30분 전까지의 데이터가 보존되어야 합니다. ----...)
- 2025년 6월 12일 (목) 14:55 Admin 토론 기여님이 RP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RTO와 RPO란? == '''RTO(Recovery Time Objective)'''는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복구가 완료되어야 하는 최대 시간**을 의미합니다. '''RPO(Recovery Point Objective)'''는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한 데이터 손실 허용 범위**를 뜻합니다. 예시로, RTO가 2시간이라면 장애 후 2시간 이내 시스템이 복구되어야 하고, RPO가 30분이라면 최대 30분 전까지의 데이터가 보존되어야 합니다. ----...)
- 2025년 6월 12일 (목) 14:55 Admin 토론 기여님이 RTO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RTO와 RPO란? == '''RTO(Recovery Time Objective)'''는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복구가 완료되어야 하는 최대 시간**을 의미합니다. '''RPO(Recovery Point Objective)'''는 장애 발생 시 **복구 가능한 데이터 손실 허용 범위**를 뜻합니다. 예시로, RTO가 2시간이라면 장애 후 2시간 이내 시스템이 복구되어야 하고, RPO가 30분이라면 최대 30분 전까지의 데이터가 보존되어야 합니다. ----...)
- 2025년 5월 19일 (월) 13:20 Admin 토론 기여님이 스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예상 질문 == 자료 저장 형태 중 '''스택(Stack)'''과 '''큐(Queue)'''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스택과 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설명하시오. 스택과 큐를 적용할만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 이 질문을 하는 이유 == 스택과 큐는 자료 구조의 '''기본적인 개념'''이다. 각각 적합한 활용처가 있으며, 그 활용처가 무엇인지 숙지해야 한다. 또한 코딩의 기본이 되는 요소이...)
- 2025년 5월 15일 (목) 16:25 Admin 토론 기여님이 HOW TO CONTRIBUTE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HOW TO CONTRIBUTE ==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당 Repository 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 PR 을 올려주실 때, labels 를 참고하셔서 알맞은 제목을 함께 올려주세요! Commit Message 는 `Update`라고만 해주셔도 되고, 원하시는 메세지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 Process === 해당 Repository 에 contribute 하는 방법을 소개드립...". 유일한 편집자는 "Admin" (토론))
- 2025년 5월 15일 (목) 16:23 Admin 토론 기여님이 알고리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알고리즘 개요 == === 🤔 알고리즘이란? === *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적 방법''' 또는 '''명확한 규칙들의 집합'''입니다. * 쉽게 말해, **"입력 → 처리 → 출력"** 과정을 수행하는 정확한 단계입니다. 예시: : 요리를 만들기 위한 **레시피**, 주어진 숫자들을 정렬하는 **방법**, 목적지까지 최단경로를 찾는 **길찾기 방식** 등 -...)
- 2025년 5월 15일 (목) 16:11 Admin 토론 기여님이 컴퓨터 구조 - CPU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컴퓨터 구조의 핵심 구성 요소 == 컴퓨터 구조의 핵심 구성 요소는 '''CPU''', '''메모리''', '''디스크''', 그리고 '''입출력(I/O)'''입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입니다. === 각 구성 요소의 역할 === ; '''CPU (중앙처리장치)''' : 계산을 담당하는...". 유일한 편집자는 "Admin" (토론))
- 2025년 5월 15일 (목) 16:00 Admin 토론 기여님이 컴퓨터 구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컴퓨터 구조의 핵심 구성 요소 == 컴퓨터 구조의 핵심 구성 요소는 '''CPU''', '''메모리''', '''디스크''', 그리고 '''입출력(I/O)'''입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컴퓨터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입니다. === 각 구성 요소의 역할 === ; '''CPU (중앙처리장치)''' : 계산을 담당하는 장치입니다. : 내부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포함됩니다. * 레지스...)
- 2025년 5월 15일 (목) 14:56 Admin 토론 기여님이 운영체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이점 == 제공해주신 자료에 따르면, 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에는 CPU, 메모리, 디스크, 그리고 입출력(I/O)이 포함됩니다. 이 중 메모리와 디스크는 둘 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차이점은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맥락에서 중요하게 논의됩니다. 자료에서 설명하는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이...)
- 2025년 5월 15일 (목) 14:51 Admin 토론 기여님이 컴퓨터구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이점 == 제공해주신 자료에 따르면, 컴퓨터의 핵심 구성 요소에는 CPU, 메모리, 디스크, 그리고 입출력(I/O)이 포함됩니다. 이 중 '''메모리와 디스크는 둘 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으며, 이러한 차이점은 컴퓨터 구조 및 운영체제 맥락에서 중요하게 논의됩니다. 자료에서 설명하는 메모리와 디스크의 차...)
- 2025년 5월 6일 (화) 04:32 Admin 토론 기여님이 Vue.js + Firebase로 이메일 회원가입/로그인 구현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Vue.js + Firebase로 이메일 회원가입/로그인 구현 === '''''2019.07.08 (김규석)''''' <br> Vue.js와 Firebase를 통한 이메일 로그인을 구현해보자~ <br> 우선 설치해야할 것 <syntaxhighlight> $ npm -i -g @vue/cli $ npm -i -g @vue/cli-init </syntaxhighlight> > @vue/cli-init은 2.0버전을 사용하기 위한 설치! <br> vue-cli는 템플릿 기반...". 유일한 편집자는 "Admin" (토론))
- 2025년 4월 26일 (토) 13:2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Compilation process.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4월 26일 (토) 13:20 Admin 토론 기여님이 파일:Compilation process.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4월 26일 (토) 13:13 Admin 토론 기여님이 HTML 기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HTML 기초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 페이지의 '''구조'''를 만드는 언어입니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보는 모든 웹사이트는 기본적으로 HTML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HTML이란 무엇인가? == *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입니다. * "HyperText"는 링크를 통해 문서 간 연결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 "Markup Language"는 문서의 구조를 설명하는 태그(명령...)
- 2025년 4월 21일 (월) 14:51 Admin 토론 기여님이 JavaScript 기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컴퓨터 과학 용어 정리 - JavaScript 기초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51 Admin 토론 기여님이 CSS 기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컴퓨터 과학 용어 정리 - CSS 기초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7 Admin 토론 기여님이 프론트엔드 개발자 로드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 로드맵 페이지 생성)
- 2025년 4월 21일 (월) 14:34 Admin 토론 기여님이 쿠버네티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쿠버네티스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4 Admin 토론 기여님이 도커 (소프트웨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도커 (소프트웨어)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4 Admin 토론 기여님이 양자 컴퓨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양자 컴퓨터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서버리스 컴퓨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서버리스 컴퓨팅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마이크로서비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마이크로서비스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컨테이너리제이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컨테이너리제이션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데브옵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데브옵스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5세대 이동 통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5세대 이동 통신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증강 현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증강 현실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가상 현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가상 현실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사물인터넷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사물인터넷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3 Admin 토론 기여님이 빅 데이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빅 데이터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2 Admin 토론 기여님이 딥 러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딥 러닝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2 Admin 토론 기여님이 기계 학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기계 학습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2 Admin 토론 기여님이 인공지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인공지능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2 Admin 토론 기여님이 블록체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블록체인 추가)
- 2025년 4월 21일 (월) 14:32 Admin 토론 기여님이 클라우드 컴퓨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IT 용어 정리 - 클라우드 컴퓨팅 추가)
- 2025년 4월 17일 (목) 16:27 Admin 토론 기여님이 Vector Container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컴퓨터 과학 용어 정리 - Vector Container 추가)
- 2025년 4월 17일 (목) 16:27 Admin 토론 기여님이 C언어 컴파일 과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컴퓨터 과학 용어 정리 - C언어 컴파일 과정 추가)
- 2025년 4월 17일 (목) 16:27 Admin 토론 기여님이 얕은 복사 vs 깊은 복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컴퓨터 과학 용어 정리 - 얕은 복사 vs 깊은 복사 추가)
- 2025년 4월 17일 (목) 16:27 Admin 토론 기여님이 구조체 메모리 크기 (Struct Memory Size)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컴퓨터 과학 용어 정리 - 구조체 메모리 크기 (Struct Memory Size)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