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관리기술사 키워드 100 인덱스: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술노트
(새 문서: = 정보관리기술사 핵심 IT 용어 100 = ← 대문으로 돌아가기 '''정보관리기술사 합격을 위한 최종 관문, 핵심 토픽 100가지를 선정했습니다. 단순 암기를 넘어 각 주제를 관통하는 맥락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인사이트를 구축하세요.''' 기술사 시험은 '왜'와 '어떻게'를 묻습니다. 아래 그룹핑된 주제들을 따라가며 각 기술의 등장 배경과 가치, 그리고 다른 기...)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정보관리기술사 핵심 IT 용어 | = 정보관리기술사 핵심 IT 용어 = | ||
'''정보관리기술사 합격을 위한 최종 관문, 핵심 | '''정보관리기술사 합격을 위한 최종 관문, 핵심 토픽입니다. 단순 암기를 넘어 각 주제를 관통하는 맥락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인사이트를 구축하세요.''' | ||
기술사 시험은 '왜'와 '어떻게'를 묻습니다. 아래 그룹핑된 주제들을 따라가며 각 기술의 등장 배경과 가치, 그리고 다른 기술과의 관계를 깊이 있게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 기술사 시험은 '왜'와 '어떻게'를 묻습니다. 아래 그룹핑된 주제들을 따라가며 각 기술의 등장 배경과 가치, 그리고 다른 기술과의 관계를 깊이 있게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
2025년 9월 8일 (월) 10:01 기준 최신판
정보관리기술사 핵심 IT 용어
정보관리기술사 합격을 위한 최종 관문, 핵심 토픽입니다. 단순 암기를 넘어 각 주제를 관통하는 맥락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인사이트를 구축하세요.
기술사 시험은 '왜'와 '어떻게'를 묻습니다. 아래 그룹핑된 주제들을 따라가며 각 기술의 등장 배경과 가치, 그리고 다른 기술과의 관계를 깊이 있게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 IT 경영 & 전략
기술을 비즈니스와 연결하고, IT를 통해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 최고 기술 경영자의 관점을 학습합니다.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컨설팅 방법론은 고득점을 위한 필수 기반입니다.
- IT 거버넌스
- IT가 비즈니스 목표에 부합하도록 의사결정 및 책임 소재를 규정하는 최상위 체계입니다.
- 정보보호 거버넌스
- 정보보호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과 책임을 정의하여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체계입니다.
- EA (Enterprise Architecture)
- 조직의 비즈니스,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기술 아키텍처를 종합적으로 설계하고 관리하는 청사진입니다.
- ISP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조직의 비전과 비즈니스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중장기 정보화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 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IT를 활용하여 혁신적으로 재설계함으로써 극적인 성과 향상을 추구하는 방법론입니다.
- COBIT
- IT 거버넌스 및 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로, IT 활동을 통제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을 제공합니다.
- ITIL (IT Infrastructure Library)
- IT 서비스 관리에 대한 모범 사례(Best Practice)를 집대성한 프레임워크입니다.
- ITSM (IT Service Management)
- IT 서비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활동의 집합입니다.
- SRE (Site Reliability Engineering)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기술을 인프라 및 운영 문제에 적용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론입니다.
- SLA (Service Level Agreement)
-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간에 서비스 수준(가용성, 성능 등)에 대해 맺는 공식적인 협약입니다.
- CMMI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시스템 관리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모델입니다.
- TOGAF
-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개발을 위한 개방형 표준 방법론 및 프레임워크입니다.
- 감리
-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과정을 제3자의 관점에서 점검하고 통제하여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활동입니다.
✨ 최신 기술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 기술과 비즈니스 혁신 전략을 이해합니다. 인공지능, 데이터 경제, 플랫폼 등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통찰력을 기릅니다.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DX)
- 디지털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시키는 것, 또는 기업이 비즈니스를 혁신하는 전략입니다.
- 생성형 AI (Generative AI)
- 텍스트, 이미지, 코드 등 새로운 콘텐츠를 스스로 생성해내는 인공지능 기술의 최전선입니다.
- LLM (Large Language Model)
- 방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간과 유사한 언어 능력을 갖춘 거대 언어 모델입니다.
- XAI (Explainable AI)
- 인공지능의 판단과 결정을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설명하는 기술로, AI의 신뢰성과 직결됩니다.
- AutoML
- 머신러닝 모델 개발의 전 과정을 자동화하여 비전문가도 AI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 딥러닝 (Deep Learning)
- 인간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심층 신경망(DNN)을 통해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입니다.
- 강화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 에이전트가 주어진 환경에서 보상을 최대화하는 행동을 스스로 학습하게 만드는 머신러닝 기법입니다.
- 자연어 처리 (NLP)
-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며 생성하게 만드는 인공지능 기술입니다.
- 데이터 경제 (Data Economy)
- 데이터를 자원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와 서비스를 창출하는 경제 패러다임입니다.
- 플랫폼 경제 (Platform Economy)
-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하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가치가 창출되고 교환되는 경제 모델입니다.
- 구독 경제 (Subscription Economy)
- 제품을 소유하는 대신, 정기적인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서비스 모델 기반의 경제입니다.
- API 경제 (API Economy)
- 기업의 데이터나 서비스를 API 형태로 외부에 공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 모델입니다.
- 마이데이터 (MyData)
- 정보 주체인 개인이 자신의 데이터에 대한 통제권을 갖고, 이를 직접 관리 및 활용하는 패러다임입니다.
📊 데이터 & 분석
데이터는 21세기의 원유입니다.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 분석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전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춥니다.
- 데이터 거버넌스
- 데이터의 품질, 보안, 생명주기 등을 관리하기 위한 전사적 차원의 정책 및 프로세스 체계입니다.
- 데이터 품질관리
-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 완전성 등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인 활동입니다.
-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 대규모 데이터 속에서 의미 있는 패턴과 규칙, 관계를 찾아내는 기술입니다.
- 빅데이터
- 기존의 방식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방대한 양의 정형/비정형 데이터와 그 처리 기술을 의미합니다.
- 데이터 레이크 & 데이터 웨어하우스
- 모든 형태의 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레이크)과, 분석을 위해 정제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웨어하우스)의 차이를 이해합니다.
- 정형, 비정형, 반정형 데이터
- 데이터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세 가지 유형의 특징과 처리 방식을 이해합니다.
- OLAP & OLTP
- 복잡한 분석 처리에 특화된 시스템(OLAP)과, 빠른 온라인 거래 처리에 특화된 시스템(OLTP)을 비교합니다.
- 증강 분석 (Augmented Analytics)
- 머신러닝과 AI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 과정을 자동화하고 인사이트 도출을 가속화하는 차세대 분석 기법입니다.
☁️ 클라우드 & 인프라
현대 IT 인프라의 표준이 된 클라우드 기술의 심층적인 이해와, 이를 기반으로 한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의 동향을 파악합니다.
- 클라우드 네이티브
-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형태로 설계, 개발, 운영하는 방법론과 기술의 집합입니다.
- 멀티 클라우드 (Multi Cloud)
-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서비스를 함께 사용하는 전략으로, 종속성을 피하고 유연성을 높입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결합하여, 보안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아키텍처입니다.
- SDN (Software-Defined Networking)
-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로 제어하고 관리하여, 네트워크의 유연성과 중앙 집중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 NFV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 방화벽, 로드밸런서 등 네트워크 기능을 하드웨어가 아닌 가상 머신 위에서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기술입니다.
🛡️ 정보 보안 & 법규
기술의 발전과 함께 고도화되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고, 관련 법규를 준수하는 것은 기술사의 핵심 역량입니다. 최신 보안 아키텍처와 법규를 깊이 있게 학습합니다.
- 개인정보보호법
-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제공 등 처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법률로, 모든 정보 시스템의 기본 준수 사항입니다.
- 신용정보법
- 개인의 신용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보 주체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 정보통신망법
- 정보통신망의 이용을 촉진하고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법률입니다.
- GDPR
- 유럽 연합(EU)의 개인정보보호 규정으로, 전 세계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법규입니다.
-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
- 개인정보에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처리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 동형 암호 (Homomorphic Encryption)
- 데이터를 암호화된 상태 그대로 연산할 수 있어,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획기적으로 보호하는 차세대 암호 기술입니다.
- 양자내성암호 (PQC)
- 양자컴퓨터의 공격에도 안전한 새로운 암호 알고리즘으로, 미래 보안의 핵심 기술입니다.
-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Zero Trust Architecture)
- '아무도 믿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는 원칙에 기반한 차세대 보안 모델입니다.
- 공급망 공격 (Supply Chain Attack)
-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 과정의 취약점을 공격하여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고도화된 공격 기법입니다.
- 랜섬웨어 (Ransomware)
-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코드 공격입니다.
- APT (Advanced Persistent Threat)
- 특정 목표를 정해 장기간에 걸쳐 지능적으로 공격하는 지속적 위협입니다.
-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 중앙 기관 없이 개인이나 단체가 자신의 신원을 스스로 관리하고 증명할 수 있게 하는 탈중앙화 신원증명 기술입니다.
- 클라우드 보안
- 클라우드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한 보안 위협과 그에 대한 대응 전략을 학습합니다.
🏗️ 소프트웨어 공학 & 개발
복잡한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개발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을 배양합니다. 아키텍처 설계부터 개발 방법론, 테스트까지 전 과정을 다룹니다.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4+1 뷰
- 복잡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5개의 다른 관점(유스케이스, 논리, 구현, 프로세스, 배포)에서 조망하는 모델입니다.
- 요구공학 (Requirements Engineering)
-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추출, 분석, 명세, 검증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 디자인 패턴
-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검증된 해결책의 모음입니다.
- 소프트웨어 측정 (Software Metrics)
- 소프트웨어의 크기, 복잡도, 품질 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는 기법입니다.
- 애자일 (Agile)
-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빠르고 반복적인 개발을 중시하는 현대적인 개발 철학입니다.
- 스크럼 (Scrum)
- 애자일을 실천하는 대표적인 프레임워크로, 짧은 주기의 '스프린트'를 통해 제품을 개발합니다.
- 칸반 (Kanban)
- 작업 흐름을 시각화하고 진행 중인 작업을 제한하여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방법론입니다.
- XP (eXtreme Programming)
- 코드 리뷰, 짝 프로그래밍, 테스트 주도 개발 등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강조하는 애자일 방법론입니다.
- DevOps & DevSecOps
- 개발(Dev)과 운영(Ops)을 통합하여 개발 및 배포를 자동화하고, 여기에 보안(Sec)까지 내재화하는 문화 및 방법론입니다.
- 테스트 자동화
- 반복적인 테스트 작업을 스크립트로 자동화하여 테스트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기법입니다.
- 블록체인 (Blockchain)
- 데이터를 분산된 여러 컴퓨터에 복제 및 저장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분산 원장 기술입니다.
- 분산원장기술 (DLT)
- 거래 정보를 중앙 기관 없이 분산된 네트워크에서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의 총칭입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Smart Contract)
-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면 계약 내용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프로그램입니다.